[NEWS초점 - 이춘희 시장 민선3기 행정 철학 6년의 명암] ⑦요란한 국내 첫 전기굴절버스 도입··· 꼬리 문 잡음 ‘증폭’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친환경 도시 건설 정책과 부합하고 대량수송이 가능한 전기굴절버스를 도입하겠다.”(이춘희 시장)
“혈세가 엉터리로 사용이 될 줄 알면서도 이런 일을 강행한 이유가 무엇?”(세종시민)
기존의 버스 한계를 극복하고 한층 더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도입한 전기굴절버스가 1년을 맞아 화두에 오른 키워드다.
하지만 당초 취지와 달리 비효율과 운행결점 등 문제점이 속속 드러나면서 졸속행정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춘희 시장은 지난해 10월 정례브리핑에서 “친환경 도시 건설 정책과 부합하고 대량수송이 가능한 전기굴절버스를 추가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가 대당 9억 원에 달하는 전기굴절버스를 비효율적으로 운행 한다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8대를 추가로 도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반발이 거셌다.
이 시장의 이 같은 굴절버스 8대 추가 도입과 관련해 발목을 잡은 것은 지난해 9월에 있었던 국감에서 비롯됐다.
◆ 이 시장, 4대→12대로 늘려…차량구입 예산 LH가 180억 원 지원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강서구병)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시굴절버스의 비효율적 노선 운행, 정류장 개선에 따른 예산 낭비를 지적했다.
요점은 하루 2번 64㎞ 운행을 위해 44㎞를 빈 차로 운행하는 것 등을 실례로 들었다. 상당거리를 빈 차로 전기를 소모하고 있다는 것.
또 “한 번 운행 후 다시 1시간 이상 충전해야 하며, 충전소도 1곳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8대 추가 도입 계획을 하고 있는데,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할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그럼에도 시는 8대 추가도입을 서둘렀다. 이 배경에는 굴절버스 구입예산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세종특별본부가 지원하게 돼 있다는 점이다.
시-행복청-LH 3개 기관이 공동 협의한 ‘신도시(행복도시) 첨단BRT 전용차량 도입’ 계획은 굴절버스 모두 12대다.
◆ 대당 15억→40%대 9억대로 뚝 … 도시교통공사 예산집행 흐름 ‘아리송’
이에 따라 지난 2018년 7월 LH로부터 60억 원을 지급받은 시는 도시교통공사에서 4대를 구입했다. 당시 대당 차량구입비는 15억 원, 모두 60억 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눈여겨볼 것은 차량구입비가 당초 대당 15억 원에서 9억 원대로 뚝 떨어진 점이다. 12대의 버스구입비 180억 원에서 40%인 72억 원이나 줄었다.
줄어든 예산 72억 원을 굴절버스 차고지(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에 사용됐다. 하지만 급조된 흔적과 예산집행내역 불투명, 자금흐름 등이 비상식적으로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기차버스’로 불리며 전국 최초로 도입돼 관심이 집중됐던 친환경 전기굴절버스.하지만 한 두꺼풀 벗겨보면 세종시의 부끄러운 만낯이 드러난다. 본보는 베일 속에 가린 의구심을 심층취재 수회에 걸쳐 짚어본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