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초점 - 세종시 국내최초 전기굴절버스 도입 숱한 잡음…쟁점은?] ⑤이례적 회계절차 프로세스··· 경리계 ‘패싱’?
180억 수입예산…절차번복 ‘헷갈려’ 당초 경리계 ‘패싱’ 교통과→도시교통공사 진술 번복, 경리계→도시교통공사라 주장 여론, “윗선 개입의혹 등 밝혀져야”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첨단BRT 차량도입(전기굴절버스) 사업비 세수입 회계절차와 관련해 시 경리계를 ‘패싱’한 것 아니냐는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사실로 드러날 경우 재정운영의 비정상 ‘프로세스’ 등 파문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사업은 시-행복청-한국토지주택공사(LH) 3개 기관의 협의로 이뤄졌고, 세종도시교통공사에 위탁해 진행됐다.
◆ 첨단BRT 차량 지원금 질의 … 당초, 경리계 ‘패싱’ 교통과→도시교통공사
시 회계부서 관계자는 “공공기관 일반 회계 ‘프로세스’는 수입·지출시 회계과 경리 계좌로 입금된 뒤 필요부서 자급요청에 따라 지출되는 것이 맞다”며 반드시 경리 계좌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 전기굴절버스 도입 자금 180억 원은 시 세원관리→경리계에 입금된 뒤 필요에 따른 예산 지출이 됐어야 한다.
본보는 지난해 12월 중순 LH의 전기굴절버스 지원금 180억 원과 관련해 예산 수령부서 확인을 위해 시 주무부서인 교통과에 질의했다. 이에 관계자는 회답을 통해 1차 사업비 대당 15억 원 4대 가격 60억 원을 지난 2018년 7월, 2차 사업비 117억 8000만 원은 지난 4월 교통과에서 수령했다고 밝혔다.
본보는 사실상의 경리계 ‘패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어 재차 확인에 들어갔다. 또 경리계 담당에게 질의했으나 “알아보겠다”고 말한 뒤 답이 없다.
◆ 재차 확인질의에 절차번복 … 경리계→도시교통공사
며칠 뒤 주무부서는 회신에서 “공기관 등에 대한 자본적위탁사업 예산으로 경리계를 거쳐 세종도시교통공사에 지급됐다”고 답했다. 하지만 이 같은 시의 설명은 당초 설명을 번복한 것이다. 더구나 경리계에서 교통과로 지급한 내용 없이 경리계→세종도시교통공사로 돼 있어 신뢰성에 의문이 간다.
번복된 회계처리와 관련해 본보는 다시 한 번 정확한 답변과 그 근거자료를 요청했다. 팩트(사실)를 한 번 더 짚어보기 위해서다. 그러나 지난달 21일부터 수회 질의한 것에 대해 열흘이 넘는 현재까지 ‘묵묵부답’이다. 만약 경리계를 ‘패싱’한 채 지원금이 교통과에 직접 지급됐을 경우 회계절차까지 무시한 행정이다. 회계행정의 프로세스까지 교란한 것 아니냐는 파문이 예상된다.
본보가 앞서 수회 지적했듯이 전기 굴절버스 도입과 차고지(충전소) 시설 등과 관련해 비위의혹은 차고도 넘친다.
◆ “윗선 지시나 개입 등 조직적 진행 … 투명한 공개로 의혹 불식시켜야”
숱한 의문의 출발점은 시가 왜 굳이 세종도시교통공사에 사업을 위탁했느냐에 있다. 행정의 이원화 구조 등 ‘리스크’가 불을 보듯 빤한데도 말이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사업비(72억)의 활용은 ‘첨단BRT 도입 추진 협의회’가 주도한 것이어서 윗선의 개입이나 지시 등이 조직적으로 이뤄졌음을 의심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시는 지원금 회계처리 절차에 대해 근거자료를 제시해 신뢰할만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 관급자재 내역 역시 공개해 각종 의혹을 불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세종도시교통사의 공공개발 사업 진출과 관련해 한마디로 ‘과유불급(過猶不及)’ 우려 등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도시교통공사의 향후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