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초점 - 세종시 국내최초 전기굴절버스 도입 숱한 잡음…쟁점은?] ⑥서류위장 업체 ‘들락날락’…“시가 몰랐을 리 없어”

시공사, 사업추진 때 세종시로 등록 급조된 차고지 준공 뒤 곧 타지 행 4일 뒤 또 세종시로 이전 등록 市, 부적격업체 전수조사…“뒷북행정”

2021-02-07     서중권 기자
전기굴절버스 도입을 들러싸고 업체 간 유착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시가 지난 4일 문제의 처고지에서 내부순환 보조 간선급행버스체계(BRT·B5) 운행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서중권 기자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공사수주를 위해 등기상으로만 본사를 이전, 영업하는 것처럼 위장한 뒤 공사를 따내는 이른바 ‘페이퍼컴퍼니’의 폐해는 심각하다. 건설생태계의 질서를 교란과 부실시공 등 건설업계의 암적 존재다.


◆ 첨단BRT 추진 때 외지서 이전…전형적 페이퍼컴퍼니 행태

숱한 의혹투성이의 세종시 전기굴절버스 도입과 관련해 차고지(충전소)조성 시공사가 페이퍼컴퍼니로 드러났다.

공교롭게도 해당 시공사는 첨단BRT 사업 추진단계 때 세종시로 이전해 공사를 따내 준공 뒤 곧바로 타지로 이전해 또 다른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전기굴절버스 도입은 지난 2017년 말 시-행복청-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3개 기관의 공동사업이다.
전기버스 차고지(충전소)조성을 수주한 K건설은 이 사업을 착수한 2017년 그해에 세종시로 이전 등록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로 이전하기까지의 과정을 보면 경북 성주→안동 →군위군 등지로 주소변경 됐다. 다시 경북 권에서→강원도 강릉→인천 강화 등 각각 1년 동안 머무르다 세종시로 이전 등록했다.
지난 2018년 한누리대로 주소로 해당 공시를 따낸 K건설은 지난해 공사를 마치고 8월 28일자로 충주로 이전했다.
K건설은 충주로 이전등록한지 4일 만인 9월 2일자로 다시 세종시로 이전했고, 또다시 11월 26일 충주로 되돌아갔다.


◆ 준공 뒤 곧바로 충주로 이전 했다 4일 뒤 또 세종시로 전입 ‘들락날락’

전형적인 페이퍼컴퍼니의 행태다.
본보는 지난해 말 10일 K건설의 해명을 듣기 위해 충주사무실에 전화했지만, 여직원은 “그곳(세종시) 사정을 잘 아는 직원은 퇴직했다. 윗분에게 전달하겠다”고 답했지만 현재까지 설명이 없다.
시-세종도시교통공사가 K건설 수주와 관련해 제대로 심사를 했느냐에 대해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시는 “공공기관의 계약에 관한법률 기준에 따라 심사한 결과 ‘적정’으로 선정돼 사업을 추진했다”는 해명이다.
하지만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라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 K사의 직원 상시근무와 통신장비 사용 등 기본적인 사항만 점검했어도 위장전입을 손쉽게 구별할 수 있다.
더구나 ‘적격심사’ 과정에서 등록요건을 꼼꼼히 체크해야 하는데도, 별다른 점검을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앞서 본보는 지난해 9월 취약계층 영구임대주택인 전의 ‘사랑의 집’과 관련, 30억 공사를 경쟁 입찰하지 않고 외지 업체인 극동건설에 끼워 넣어 불법 수의계약 한 것을 보도한 바 있다.


◆ 市, 부적격업체 전수조사 나서…“뒷북정책, 짜고 친 고스톱” 비난

이 같은 본보의 불법사례가 지적 된지 한 달 후인 지난해 10월, 시는 공공계약 부적격업체 전수조사 실시에 나섰다. 대상은 시에서 인가한 공사·용역 분야 63개 업종 1611개 업체다.
조사에서 부적격 업체로 판명되면 즉시 관계 법령에 따라 처분하고, 입찰 및 수의계약에서 배제하는 등 강력한 행정조치를 예고했다.
하지만 ‘뒷북정책’과 ‘짜고 친 고스톱’의 비아냥은 수그러들지 않은 채 잡음이 불거지고 있다.
최첨단 전기글절버스 도입을 둘러싸고 업체 간 유착의혹은 까도 까도 양파껍질처럼 꼬리를 물고 있어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