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과 충청권 4개 시·도, 국토부에 광역계획권역 변경 신청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역(7개→22개 시·군) 확대 ··· 충청권 메가시티 초석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북도, 충남도가 함께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광역계획권역 확대를 추진한다.
행복청과 4개 시·도는 지난 22일 ‘제6회 행복도시권 광역상생발전정책협의회(이하 정책협의회)’를 개최, 기존 행복도시 광역권역을 확대하는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확대‧조정안’ 등을 국토교통부에 변경 요청했다.
정책협의회는 광역도시계획 공동 수립을 위해 2018년 3월 구성됐다. 행복청장(위원장), 국무조정실 세종시지원단장,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 세종특별자치시 경제부시장,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충청남도 행정부지사를 위원으로 한다.
새로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역은 도시기능 연계 및 광역생활권 등을 감안, 기존 7개 시‧군에서 22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기존 광역계획권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대도시권을 형성함으로써 지역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수도권에 편중된 국토이용 체계를 다극화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민철 행복청 광역상생발전기획단장은 “행복도시 건설의 효과가 충청권 전체로 확대되어, 행복도시권이 명실상부한 국토균형발전의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행복청은 향후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자문,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 심의를 통해 상반기 중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역 변경을 완료하고, 시도별 공청회 등을 거쳐 연말까지 ‘2040년 행복도시권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