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지방정부 출범] ‘지역발전’ 공동의 지향점, 메가시티로 수렴
지방권력 바뀌었지만 현안은 그대로 지방소멸 위기 타개 위한 총력전 필요 초광역경제권 형성 위한 공조 절실 지역 이해관계 넘어서야 목표 도달
6·1 지선을 통한 지방권력 교체로 새로운 지방정부가 출범한다. 국민의힘이 충청권 4개 광역단체장을 모두 석권했는데 ‘지역발전’이라는 공통의 지향점 속에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적 방법론은 민주당 정부 때와 상당히 다를 것으로 보여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지난 지방정부에서 구체화된 충청권 메가시티의 경우 수도권 초집중화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의 타개책으로 대두됐는데 지방권력 교체로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2·3면
민선 8기(세종 민선 4기) 충청권의 핵심 과제는 초광역경제권 형성을 통해 지역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있다. 윤석열정부 역시 ‘다 함께 잘 사는 나라’를 표방하며 지역균형발전을 국정과제에 담아낸 만큼 지방정부 역시 대선 공약과 지선 공약을 잘 다듬어 이를 구체화시켜 나가야 하는데 그 중심엔 충청권 메가시티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 원자잿값 인상 등에 따른 경제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지만 충청권 지방정부들은 지역 경쟁력 제고 방안 창출과 이에 따른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놓고 정책방향을 설정할 전망이다.
메가시티와 관련해 첫 퍼즐인 충청권 특별지자체가 조만간 모습을 드러낼 예정인데 각 시·도는 연내 합동추진단을 구성할 방침이다. 합동추진단으로 일부분이나마 행정의 일원화를 이뤄낼 충청권은 이를 기반으로 특별지자체를 설립, 2025년 행정구역 통합을 이루겠다는 로드맵을 구상했다.
외환위기의 희생양으로 사라진 충청권 지방은행도 충청권 자치단체의 의지에 힘입어 부활을 준비 중이다. 이미 충청권의 공감대가 일치하는 상황 속 서명운동과 여론조사 등으로 당위성을 확보한 상황이라 지방은행 부활을 위한 본격적인 실무협의도 조속히 이뤄질 예정이다. 충청권에서 발행되는 20여 개의 지역화폐도 한 데 묶여 일원화된다. 메가시티가 하나의 대도시권을 형성해 동일 생활권 구축에 방점을 찍고 있는 만큼 지역화폐도 허물없이 충청권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게끔 하자는 취지다.
충청권 단체장들이 지난 지선에서부터 원팀의 모습을 보이며 돈독한 관계 속 메가시티 설립에 합심하고 있으나 협력과 연대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KTX 세종역 신설 문제를 놓고 세종시와 충북도가 갈등을 빚고 있다. 충청권 지방은행과 관련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대전 본사 기업금융은행 설립 공약과 맞물려 충남도와 대전시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이 벌어지는 모양새다. 지역적 이해관계를 넘어서야 하는 것이 관건이란 얘기다.
충청권 자치단체 관계자는 “부·울·경도 메가시티 특별연합 사무실을 차지하는 과정에서 내홍을 겪었고 결국 답보에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공동협력을 원천 삼는 메가시티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민선 8기엔 충청권이 하나되는 모습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신익규 기자 sig260@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