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디지털휴먼 품질평가 국제표준 제정

2023-08-24     서지원 기자
▲ ETRI 연구진(이승욱 책임연구원)이 렌더링된 디지털휴먼 영상을 보며 설명하는 모습.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제안한 '디지털휴먼' 관련 품질평가가 국제표준화기구에서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6월 말 국제사실표준화기구(IEEE-SA)가 주최한 회의에서 연구진이 제안한 디지털휴먼 관련 품질평가 프레임워크가 국제표준으로 최종 승인됐다고 24일 밝혔다.

디지털휴먼은 사람의 신체구조 및 움직임을 데이터화해 분석하고 가상공간에서 실제 사람처럼 움직임을 재현하는 기술이다. 현실감 있는 표정변화와 사람감정으로 감성대화가 가능하다.

ETRI는 디지털휴먼 품질을 평가키 위해 ▲질문리스트(Question List)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등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

이 표준 프레임워크는 질문리스트를 바꾸면 디지털휴먼 뿐만 아니라 게임, 영상, 확장현실(XR) 등 다양한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질문리스트와 평가 방법을 분리해 응용 분야에 맞는 질의를 추가하는 방법을 적용, 질문리스트를 변경하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번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기술을 이용할 경우 국내외 실사화된 디지털휴먼의 품질을 공식적으로 점수화해 평가할 수 있게 된다.

ETRI 이승욱 CG/Vision연구실 책임연구원은 "이본 표준을 통해 최근 생성형 AI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콘텐츠 품질을 평가할 수도 있다"며 "추후 산업체 주도 포럼 등을 통해 각 응용서비스에 맞는 디지털휴먼 품질 점수를 제공해 디지털휴먼 산업 전반의 콘텐츠 품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지원 기자 jiwon401@gg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