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머니 배가 많이 고프네요. 긁어놓은 눌은밥 좀 주세요.’ ‘누룽지 한 그릇 줄테니 시장기나 덜고 가시구려.’
요즘은 일부러 누룽지를 만들어 먹거나 사 먹기도 하지만 예전에는 밥을 해 먹으면 으레 나오는 것이 누룽지라 누룽지가 흔했다. 그러나 밥을 하면 부산물로 나오는 ‘누룽지’나 누룽지를 먹기 좋게 만든 ‘눌은밥’은 위 글처럼 여러 가지 형태로 잘못 쓰이거나 섞어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우선 밥을 하면 노릇노릇 먹기 좋게 눌어붙는 것이 ‘누룽지’이다. 솥이나 냄비 바닥에 눌어붙은 밥이나 긁어 둔 것을 누룽지라 말하면 바른말이다. 또 밥맛이 없거나 고기 등을 미리 많이 먹어 딱히 밥을 먹자니 배가 너무 많이 부를 것 같을 때에는 밥 대신 먹는 ‘눌은밥’이 있다. ‘눌은밥’은 솥이나 냄비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을 말한다.
따라서 식당 주인에게 바싹바싹한 누룽지가 먹고 싶다면 ‘누룽지 주세요.’라고 해야 하며, 밥 대신 한 그릇 먹고 싶다면 ‘눌은밥 주세요.’라고 해야 원하는 것을 제대로 가져온다. ‘눌은밥’은 ‘누른밥, 누룬밥, 누룽밥’등 여러 형태로 잘못 사용하기도 한다. ‘누룽지’가 시작인지라 이런 말들이 쓰이는 듯하다. 하여튼 ‘누룽지’와 ‘눌은밥’은 원천은 같으나 종류가 조금 다른 음식이므로 말뜻이 통하더라도 구분해 써야 한다.
석유 한 방울 나오지 않는 나라에서 에너지 절약 운동은 꼭 필요하다. 눌은밥 먹기도 어려웠던 가난한 시절을 생각하며, 절약에 앞장서야 한다.
<본사 상무/충남본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