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내정자는 23일 대북 쌀 지원과 관련, “국내 쌀 재고 (해소) 차원의 문제도 있지만, 인도주의적이고 남북간 화해.협력 측면에서 충분히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이는 최근 최악의 홍수 피해를 입은 북한의 상황이 알려진데 따른 것으로, 현 정부 들어 중단됐던 대북 쌀 지원이 재개될지 관심이다. 특히 대북쌀 지원 중단 후 재고량 문제로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는 충남도 등 전국 쌀농가의 위기 타개책이 될지 촉각이 쏠리고 있다.본보 7월 19일 1면 4면등 보도유 내정자는 이날 국회 농림수산식품위 인사청문회에 출석, 여야 의원들의 질문에 대해 “한나라당이 이 문제에 대해 어떤 의견을 제출하면 적극 수용할 의사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유 내정자는 그러나 지원 시기와 조건에 대해선 “말할 수 없다. 정부 차원의 결정을 거칠 수밖에 없다”고 했고,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가 전날 당정청 9인 회의에서 대북 쌀지원을 건의한 데 대해 “말한 취지와 내용을 아직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2005년산 쌀을 사료용으로 처분하는 방안에 대해 “2005년도 쌀은 밥쌀용으로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면서도 “사료로 활용하는 것은 국민정서를 고려할 때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그는 쌀 조기 관세화(시장개방)에 대해 “관세화 유예로 최소시장접근(MMA) 물량이 매년 2만t씩 증가하고 있어 조기 관세화를 통해 물량압박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이재오 특임장관 내정자도 이날 인사청문회에서 “추석도 가까워 온 만큼 인도적 차원에서 쌀 지원문제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