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친구의 아들 ‘엄친아’가 거론되는 순간 괴로운 아이들이 많다. 지독히 능력이 부족한 아이에게는 ‘누구 뒷꿈치라도 쫓아 가보라.’는 독설이 쏟아지기도 한다. 삼가야 될 말이다.

이때 사용하는 ‘뒷꿈치’는 잘못된 말이다. 발뒤꿈치의 준말은 ‘뒷꿈치’가 아니라 ‘뒤꿈치’다.

사이시옷을 사용하는 법칙은 경우가 너무 많아 까다롭다. 한글맞춤법(제30항)에 따르면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이면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붙이는 등 여러 가지 경우가 있다. 그러나 경우가 너무 많아 잘 기억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사이시옷을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사용하지 않아야 될 곳에 사이시옷을 사용하는 경우 또한 너무 많아 걱정이다. 위 뒤꿈치처럼 사이시옷 소리가 나더라도 사용해서 안 되는 경우는 뒤 단어의 첫소리가 거센소리(ㅊ·ㅋ·ㅌ·ㅍ)거나 된소리(ㄲ, ㄸ, ㅃ, ㅆ, ㅉ)인 경우다. 한자어와 함께 가장 많이 틀리는 경우인데, 잘 기억해두어야 한다. 뒤처리, 뒤탈, 뒤편, 뒤끝, 뒤쪽 등이 그렇다. 모두 ‘뒷처리, 뒷탈, 뒷편, 뒷끝, 뒷쪽’ 등으로 사시시옷을 붙이는 경우가 허다하지만 잘못된 사용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부산에서 가진 충남도의회 연찬회에서 의원 간 심히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단다. 우리 지역이 아닌 부산까지 갔으면 뒤탈 생기지 않도록 더욱 조심했어야지 이 무슨 추태인가.

<본사 상무/충남본부장>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