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도 보급 저조 버스 22% 택시 7%뿐
예산 2500만원 못 써
<속보>=대기환경 개선과 연료비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차량 공회전 제한장치(ISG)’의 보급사업이 말 그대로 공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본보 2012년 3월 21일 6면, 2011년 9월 6일 4면 등 보도>
버스와 택시 등 운전사들은 운전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ISG 부착에 소극적이고, 지방정부는 이들의 볼멘소리와 홍보의 어려움을 들며 이렇다 할 보급 실적을 내지 못하는 상황. 게다가 중앙정부는 ISG 보급을 위한 내년도 대기환경기반구축 보조금을 반토막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ISG 보급사업이 ‘계륵’으로 전락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낳고 있다.
올 3월말 1억 7000만 원을 들여 시내버스와 택시, 화물차량에 ISG를 보급하겠다고 했던 대전시는 어떨까.
시가 밝힌 보급실적은 예상보다 초라하다. 12월 현재 ISG는 버스 125대, 택시 244대에 장착됐다. 적재량 1톤 이하 택배용 화물차량의 경우엔 단 한 대의 실적도 없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ISG를 장착해 시범운영하고 있는 시내버스 90대까지 더하면 버스 215대가 최종 결과다. 대전지역엔 현재 13개 회사 965대의 시내버스가 다니고 있고, 택시는 3370대에 이른다.
ISG 장착률로 보면 버스는 22%, 택시는 7%라는 얘기다. 관련 예산 1억 7000만 원 중 3500만 원은 써 보지도 못하고 ‘불용액’으로 반납해야 할 처지다.
시 관계자는 “ISG 장착비의 50%를 시가 지원해 준다 해도 일선 운전사들은 운전 불편 등의 선입견을 갖고 장착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렇다고 이를 버스·택시회사 등이 강제하기도 어려움이 있고 (그렇다보니) 시 입장에선 더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고충을 말했다.
이어 “지난해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본격적으로 ISG 보급사업이 시작된 만큼 올해 실적과 미비점 등을 분석해 내년 보급에 더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하지만 ISG 보급정책의 더 큰 난관은 정부의 의지다. 2013년 ISG 보급 확대를 위해 정부가 시에 내려 보낼 국비는 4800만 원으로 책정됐다. 여기에 시비 50%를 매칭한다고 해봐야 전체 사업비는 9600만 원에 불과하다.
올해 총예산이 1억 7000만 원이었으니 절반에 가까운 42%가 잘려나간다는 얘기다. 대당 ISG 설치비용을 40만 원으로 잡으면 차량 240대 예산 수준이다. 전국적으로 ISG 부착실적이 저조하다보니 내년 예산이 준 게 아니냐는 한탄과 푸념이 시 내부에서조차 나온다.
공회전제한장치(ISG)는 ‘아이들 스톱 앤 고(Idle Stop and Go)’ 장치로 불리기도 하는데, 교차로 신호 대기 등 일정 시간(1∼5초) 이상 차량 운행이 멈추면 자동으로 시동이 꺼지는 방식이다. 또 출발을 위해 기어를 조작하거나 풋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시동이 다시 걸린다.
환경부가 지난 2010년 수도권 지역 시내버스 2240대에 ISG를 부착해 운행한 결과를 보면 연비(CNG)는 17.7%(2.53→2.98㎞/㎥) 개선됐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7.1%(763.6→632.9g/㎞)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일산화탄소(17.7%)와 질소산화물(17.3%) 등 오염물질도 적게 나와 연평균 470만여 원의 연료비 절감효과를 냈다. 또 택시의 경우 ISG 장치 내구연한인 5년 동안 682만 3800원, 택배 트럭은 7년 간 98만 2100원의 경제적 이익을 거둘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승현 기자 papa@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