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23 산업연관표 발표…서비스 비중↑ 무역 의존도↓

사진 =  한국은행
사진 =  한국은행

한국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가 뚜렸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무역의존도 또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산업연관표’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재화·서비스 총공급액(총수요액) 6802조 7000억 원 가운데 29.6%가 수출과 수입을 더한 대외거래였다. 이 비중은 2022년 31.5%보다 1.9%p 감소했다.

산업 구조를 보면, 총산출액(부가가치+중간투입) 가운데 공산품의 비중이 석탄·석유제품 등 기초소재를 중심으로 1년 새 42.8%에서 41.2%로 줄었다. 반대로 서비스 비중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 위주로 46.8%에서 48.1%로 늘었다.

부가가치 기준에서도 공산품은 26.2%에서 25.0%로 축소됐지만, 서비스는 65.1%에서 65.4%로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부가가치 유발계수(0.752)는 전년(0.729)보다 올랐고, 생산유발계수도 1.818에서 1.827로 상승했다.

부가가치·생산 유발계수는 어떤 상품의 수요가 1단위 발생했을 때 이를 충족하기 위해 해당 상품을 만드는 부문을 포함한 모든 부문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생산의 크기를 말한다.

2023년 전업 환산 취업자는 2599만 명으로 1년 사이 56만 명 증가했다. 전업 환산 취업자는 시간제 근로자의 노동량을 전일제 근로자의 기준으로 바꿔 산출한 통계로, 임금금로자(상용직+임시·일용직)와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다.

취업 형태별로는 상용직 임금근로자의 비중이 59.6%에서 61.0%로 커졌지만, 일용직은 15.4%에서 14.5%로 줄었다.

부문별로는 서비스 취업자 비중이 71.1%에서 71.7%로 늘어난 반면 공산품 취업자는 14.5%로 0.3%p 감소했다.

취업유발계수(8.2명)와 고용유발계수(6.2명)는 모두 2023년(8.1명·6.1명)보다 올랐다.

취업·고용유발계수는 최종 수요가 10억 원 발생할 경우 전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취업자 수와 임금근로자 수를 각각 말한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