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17% 감소…대전 51.5%↓, 세종 55.4%↓
지방 공공재원 확대 및 미래 전략 사업 유치 필요

대전시와 세종시의 올해 건축 착공면적이 전년 대비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적인 현상인데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 침체를 겪었던 2009년 이후 가장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지방의 감소폭이 커 자칫 경기침체 장기화로 이어지진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건설 동향 브리핑 보고서’에 따르면 1∼8월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올해 5043만 ㎡로, 2009년(4160만㎡) 이후 두 번째로 작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건축 착공 면적(6073㎡)과 비교해서는 17.0% 감소한 수치다. 주거용·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30.6%, 8.6% 감소한 1603만㎡, 3440만㎡로 집계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지방)의 착공 면적은 같은 기간 각각 10.2%, 23.8% 줄어든 2770만㎡, 2273만㎡를 나타냈다.
특히 지방은 주거용·비주거용 착공 면적이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2.6%, 19.4% 감소한 693만 ㎡, 1580만㎡를 기록했다. 충청권에서는 대전과 세종의 감소폭이 컸다.
대전은 전체 착공면적이 전년 대비 51.5%가 감소했으며 특히 주거용 착공면적은 72%나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세종시의 전체 착공면적은 대전보다 큰 55.4%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충남은 10.4%가 감소했으며, 충북은 2.3% 증가했다. 충북의 경우 주거용은 17.3% 감소했지만 비주거용 면적이 증가한 탓이 컸다. 착공면적이 전년 대비 증가한 지역은 서울과 충북이 유일하다.
건축공사 착공 물량이 위축되고 있어 향후 1~2년간 공사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건산연은 내다봤다.
추석 이후 착공 물량이 회복될 수 있지만 비수도권의 경우 당분간 회복 여력이 크지 않다고 건산연은 분석했다.
건산연은 “지방 착공 감소와 건설 투자 위축은 지역 경제에 불가피하게 큰 타격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전략 사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단순히 일시적인 건설 경기 부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공 공사 확대를 발판으로 삼아 중장기적 성장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미래형 전략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면서 “차세대 신성장 산업을 유치·육성하고,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친환경 인프라, 스마트시티, 관광·문화 자원 활용 프로젝트 등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