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기술력이 중국 앞선다’ 90%(2010) → 32%(2025)로 줄어
국내 제조기업 85% “동일사양 중국산이 더 싸다”

▲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국내 제조기업 상당수가 중국의 기술경쟁력이 한국을 빠르게 추월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의 실수’는 이제 옛말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기업 37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국보다 기술경쟁력이 앞선다’고 답한 기업은 32.4%였다. 한-중 기업 간 기술경쟁력 차이가 없다(45.4%)는 답변이 더 많았고 오히려 중국이 앞선다(22.2%)는 답변이 상당수였다. 2010년 동일 조사에선 ‘한국기업의 경쟁력이 중국보다 높다’는 기업이 89.6%였다. 15년 새 상황이 급변한 거다.

한국 제품의 상대적 단가 체감도를 물은 질문에 응답기업의 84.6%가 ‘중국산에 비해 비싸다’고 답했다. 이 중 ‘중국산 제품이 국산보다 30%이상 저렴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절반 이상인 53%를 차지했다.

업종별로 ‘30%이상 저렴한 중국산’ 응답은 디스플레이 업종이 66.7%였고 제약·바이오(63.4%), 섬유·의류(61.7%) 등이 뒤를 이었다. 세계무역기구(WTO) 산하 국제무역센터(ITC)가 제공하는 트레이드 맵 자료에 따르면 중국산 메모리 반도체 가격은 한국산의 65%, 리튬이온 배터리는 73%, 두께 10mm 초과 후판 철강은 87%, 면제품 섬유·의류는 75% 수준이다.

한국이 강점으로 여겨온 제조 속도에서도 중국이 소폭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생산 속도와 중국 경쟁기업의 생산속도를 비교해 달라는 질문에 ‘중국이 빠르다’는 답변이 42.4%로 ‘한국이 빠르다’(35.4%)는 답변을 앞질렀다.

중국 산업의 성장이 3년내 국내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감소할 것’이란 답변이 69.2%를 차지했다. ‘한국기업의 매출도 줄어들 것’이란 응답 비중도 69.2%로 높았다.

대한상의는 “중국은 1조 8000억 달러 규모의 정부 주도 기금 등 막대한 보조금을 쏟아 붓는 반면 한국은 세액공제에 의존하고 있다”며 “이마저도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공제율이 낮아지는 역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AI 등 첨단산업에는 규모별 지원이 아닌 혁신산업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정부의 지원형태도 ‘나눠 먹기’ 식 재정투입에서 벗어나 ‘성장형 프로젝트’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반지주회사가 GP(운용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제안했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