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세청이 암표상을 향해 칼을 빼들었다. 국세청은 단순한 질서 위반의 수준을 넘어 국민 개개인의 정당한 권리를 빼앗으며 이득을 챙겨 온 암표업자들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실시한다고 6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주요 티켓 거래 플랫폼 상위 1% 판매자의 인당 연간 판매 건수인 280여 건을 크게 상회하는 거래량을 보인 전문 암표상들 중에서도 가장 탈루혐의가 짙은 자들이다. 이들은 공공기관 근무자·사립학교 교사를 포함해 체계적인 전문조직 및 협력업체를 갖춘 기업형 암표업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총 17개 업자들이다. 국세청은 이들이 수만 건 이상의 거래를 통해 최소 200여억 원이 넘는 암표를 유통한 것으로 국세청은 추정하고 있다. 특히 공공기관 근로자는 4억 원대, 사립학교 교사는 3억 원대의 암표 판매 수익을 올렸다고 보고 있는데 가장 전형적인 수법은 입장권에 웃돈을 얹어 되파는 중고거래형이다. 수년간 4만건 이상 입장권을 되팔아 정가의 최대 30배의 폭리를 취했다. 이밖에 불법책임을 분산하기 위해 매크로 프로그램을 티켓 희망자에게 직접 판매하거나 ‘온라인 새치기’가 가능한 ‘직접 예약링크’를 판매하는 수법도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세청 관계자는 “민생과 시장질서에 미치는 사안의 파급력과 시급성을 감안해 암표업자들의 수익 내역과 자금흐름 및 은닉재산 유무 등을 신속하고 철저히 검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하겠다. 가용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암표판매와 관련된 현금거래를 빠짐없이 확인하고 정당한 세금을 추징할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