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폭넓은 의견수렴 한다더니 전교조 일색", 道가 이념·계층적 안배 못해 분열만 양산한 꼴

‘충남도민 300인 정상회의’가 이념 논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고 있다.특히 국내 대표적인 보수 교원단체인 교원단체총연합회가 사실상 회의 참여 자체부터 배제됐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도민정상회의’가 이념적, 계층적 안배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충남도 “현직교사 추천 위주로” ...알고보니 모두 전교조충남도 관계자는 ‘교총 배제 의혹’과 관련, 충남교총에 안내 공문 등을 보내지 않은 것을 인정하면서도 “언론 등을 통해 정상회의 참가자 모집이 보도됐음에도 교총에서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다.도 관계자는 이어 “일선 시군에 교사들의 모임이 있는데 현직교사들이 많다. 순수하게 받았다”며 “교총에 대해 직접 협조 요청 등을 하지 않은 이유는 이권단체란 점도 고려됐다”고 말했다. 즉 교육분과의 경우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단체와 개인들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됐으며, 개별 추천 과정에서 현장 교사들의 참여를 적극 고려했다는 것이다.그러나 본보 취재 결과, 이번 교총배제 논란을 빚고 있는 교육분야의 경우 전교조 충남지부장 등 전교조 소속 2명 외에 현직 교사로 명단에 올린 9명의 교사들도 전 전교조 충남지부장을 비롯해 모두 전교조와 직간접적 연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반면 교육계내 보수진영 인사는 거의 찾기 힘들어 진보와 보수 양측간 현격한 불균형을 이뤘다.이에 대해 교총은 “전교조 일색의 인적 구성에서 어떻게 진보와 보수를 아우르는 폭넓은 의견수렴이 가능하겠냐”며 황당하다는 입장. 이와 함께 공무원 인사로 김주찬 충남도 공보관 등도 교육분야 명단에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진보와 보수 불균형...대표성 시비도민정상회의의 대표성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충남도는 인터넷공모와 추천 작업을 통해 도내 각계 각층을 최대한 아울렀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도민 정상회의 참가자 면면이 진보진영으로 크게 치우쳐 도민들의 대표 여론으로 객관성을 주장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일각에선 도민정상회의에 대한 지역사회의 공감대와 결정 사항의 실천력을 담보하기 위해선 전반적인 궤도 수정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대두되고 있다.▲진보로부터도 호된 비판...포플리즘화 경계일각에선 민선 5기 충남도가 출범 초기 구조적인 문제에 봉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안희정 지사는 진보·개혁 진영의 대표 주자로 각인돼 있지만 도백 직책에 대한 실전에선 보수진영은 물론 진보 진영과도 파열음을 낳고 있다. 전농 충남도연맹이 ‘도민 정상회의’를 “정치쇼”라고 강력 비판하는가 하면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도 ‘안 지사의 진정성’을 거론하며 불편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지역의 모 인사는 “진보.개혁 성향의 민선 5기 충남도가 중앙무대 진보진영과는 우호적 관계를, 지역내 진보세력과는 스킨십 부재에 따른 갈등 양상의 기이한 구조로 흘러가고 있다”며 “충남도가 정책적 이념과 현실적 한계란 상반된 과제를 풀어내는데 한발 물러선 수동적 행보를 이어갈 경우 자칫 포플리즘화로 흐를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