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는 여당, 다음날은 야당의 편을 드니 너도 주책이다.” “주책없기는 너도 마찬가지다.”
줏대 없이 이랬다저랬다 행동하는 사람에게 흔히 던지는 ‘주책이다’와 ‘주책없다’가 구분 없이 섞여 사용된다. 하지만 위 대화에서는 ‘주책없다’를 사용해야 바른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빌려보면 ‘주책’은 첫째,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 둘째,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을 뜻한다. 두 뜻이 이렇게 상반된 의미를 지니고 있어 오랫동안 혼란스럽게 표현이 섞여 사용돼 온 것으로 보인다.

사전의 의미대로 풀어보자. 위 대화의 경우처럼 줏대가 없이 행동하는 사람이나 그 행위를 언급할 때는 ‘주책없다’라고 하면 맞다. 또 둘째 의미처럼 그런 짓을 하는 사람에게 던지는 말이므로 ‘주책이다’라고 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주책이다’와 ‘주책없다’가 모두 비슷한 뜻으로 사용되고, 그 중 ‘주책없다’가 더 널리 사용됐다는 데 있다. 그래서 ‘주책없다’를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표준어 규정 제25항은 의미가 똑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경우, 그중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단어만을 표준어로 삼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은 ‘주책이다’는 부정사를 빼고 쓰면서도 의미는 반대가 되지 않고 부정사가 있는 ‘주책없다’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특이한 용법으로, 오용으로 판단되어 ‘주책이다’를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주책없다’는 ‘일정한 줏대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여 몹시 실없다.’의 의미로, 한 단어로 붙여 사용된다.
기초단체가 지금까지 원 구성을 두고 잡음을 내고 있다. 시작부터 분명한 원칙도 없이 주책을 떨고 있으니 걱정스럽다.

<본사 상무/총괄국장>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