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상무/총괄국장

위 글은 ‘석 되’가 바른말이다. ‘냥, 되, 섬, 자’는 ‘셋’과 ‘넷’의 수량을 표현할 경우 수관형사 ‘석’과 ‘넉’을 사용해야 한다. ‘석 냥, 넉 냥, 석 되, 넉 되, 석 섬, 넉 섬, 석 자, 넉 자’로 써야 옳다.
흔히 쓰고 있어 혼란스럽겠지만 만약 ‘세 냥, 네 냥, 세 되, 네 되, 세 섬, 네 섬, 세 자, 네 자’라고 쓰면 모두 틀린 말이다.
‘돈, 말, 발, 푼’은 ‘서’와 ‘너’를 사용해야 한다. ‘서 돈, 너 돈, 서 말, 너 말, 서 발, 너 발, 서 푼, 너 푼’이라고 써야 바른말이다. 이것을 ‘세 돈, 석 돈, 네 돈, 세 말, 네 말’ 등으로 쓰면 바른말이 아니다.
이 규칙은 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제17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규칙은 위에 언급한 대로 ‘냥, 되, 섬, 자’와 ‘돈, 말, 발, 푼’의 경우, 셋과 넷의 수량을 표현할 경우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나머지 단위 앞에서 수관형사는 띄우기만 하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취업을 하지 못한 젊은 청춘이 노동판으로 몰려들어 안타까움이 크다. 금반지 너 돈, 다섯 돈 값의 저 임금 시장으로 뛰어드는 것도 걱정이지만, 건설현장 막노동 시장으로의 대거 진입은 심히 염려스럽다.
<본사 상무/총괄국장>
윤성국
ys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