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글 ‘깊숙이’의 정확한 발음은 ‘깁쑤기’이다. 따라서 ‘깊숙이’가 바른말이며, ‘깊숙히’는 바른말이 아니다.

우리말을 쓰다 보면 ‘~이’로 끝낼지, ‘~히’로 끝낼지 아리송할 때가 많다. 이 규정은 한글맞춤법 제51항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히 ‘이’로만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깨끗이, 가까이, 급히, 특히’처럼 분명히 구분되는 것은 혼란스럽지 않지만 구분하기 어려운 말이 많다. 특히 사람의 발음 습관에 따라 위 한글맞춤법 규정은 사실 적용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알아두어야 할 규칙은 있다.

국립국어원이 풀이한 규칙을 소개한다.
1. ‘이’로 적는 것: ①(첩어 또는 준첩어인) 명사 뒤(간간이, 번번이, 샅샅이) ②‘ㅅ’ 받침 뒤(버젓이, 지긋이) ③‘ㅂ’ 불규칙 용언의 어간 뒤(가벼이, 새로이) ④‘-하다’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 뒤(굳이, 많이) ⑤부사 뒤(곰곰이, 더욱이)

2. ‘히’로 적는 것: ①‘-하다’가 붙는 어근 뒤(단, ‘ㅅ’ 받침 제외.)(엄격히, 정확히, 꼼꼼히) ②‘-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가 결합하여 된 부사가 줄어진 형태 (익히: 익숙히→익히, 특히: 특별히→특히)
그러나 이 규칙도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깊숙이’는 ‘깊숙하다’처럼 ‘~하다’가 붙는 어근 뒤지만 ‘이’가 붙어 ‘깊숙이’로 쓰인다. 또 ‘끔찍이, 길쭉이’도 예외인 경우다. 하지만 위의 규칙을 이해한 다음, 예외적으로 사용되는 일부 단어는 외우면 사용에 큰 문제는 없다.

담뱃값이 대폭 인상된다. 깊숙이 밴 흡연 습관을 이 기회를 통해 날려버리자. 내 건강, 가족과 이웃의 건강까지 챙기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본사 상무/총괄국장>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