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국어원이 지난 15일 13개 항목의 어휘를 표준어로 추가해 발표하는 ‘2014표준어추가사정안’을 발표했다. ‘우리말우리글’ 코너를 통해 표준어가 아니라고 소개된 ‘굽신거리다, 개기다, 삐지다, 꼬시다’ 등도 이제는 표준어로 바뀌었다.
표준어와 같은 뜻을 가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다섯 개는 기존 표준어 ‘구안괘사, 굽실, 눈두덩, 삐치다, 작장초(酢漿草)’에 ‘구안와사, 굽신, 눈두덩이, 삐지다, 초장초((酢漿草)’가 추가됐다. ‘굽신’이 표준어로 인정됨에 따라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하다, 굽신굽신, 굽신굽신하다’등도 표준어가 됐다.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차이가 나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것이 8개다. ‘개기다, 꼬시다, 놀잇감, 딴지, 사그라들다, 섬찟, 속앓이, 허접하다’ 등이다. 섬찟이 표준어가 되면서 ‘섬찟하다, 섬찟섬찟, 섬찟섬찟하다’도 이제는 표준어다.
‘놀잇감’은 그동안 ‘장난감’으로 써야 했으나 ‘놀잇감’과 ‘장난감’은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표준어로 인정했다고 한다. ‘놀잇감’이 ‘장난감’보다 훨씬 넓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데도 그동안 인정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늦은 감이 없지 않다.
국어심의회는 이와 더불어 ‘RADAR’를 ‘레이더’로만 표기하던 것을 ‘레이다’로 복수 표기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 원래 발음이[~da:(r)]인 것을 반영했다.
2014년이 며칠 남지 않았다. 2015년에는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분야에서 허접한 것들이 모두 사그라들고, 섬찟한 사건들도 그만 일어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사 상무/총괄국장>
윤성국
ysk@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