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을 빌려 ‘껍데기’와 ‘껍질’의 의미를 살펴보자. ‘껍데기’는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 알맹이를 빼내고 겉에 남은 물건’으로 풀이된다. 반면 ‘껍질’은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를 뜻한다. 작은말은 ‘깝질’이다. 따라서 위 글은 ‘귤껍질’이 바른말이다.

그래서 ‘수박 껍질, 귤껍질, 사과 껍질, 양파 껍질, 복숭아 껍질, 오이 껍질’등으로 사용한다. ‘껍데기’는 ‘달걀 껍데기, 조개껍데기, 소라 껍데기, 굴 껍데기, 베개 껍데기, 이불 껍데기’ 등으로 사용된다. 과자 포장지를 벗겨 낸 다음 알맹이를 먹고 나면, 남는 포장지는 ‘과자 껍데기’가 된다.
 
소주 안주로 ‘돼지껍데기’가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동물의 표피는 ‘껍질’을 사용한다. 그래서 돼지의 딱딱하지 않은 속살을 둘러싸고 있는 것은 ‘껍데기’가 아니라 ‘껍질’이 맞다. 그러나 돼지껍질을 분리해 두었다가 따로 파는 이 음식은 많은 사람들이 ‘돼지 껍데기’라고 하니 다소 혼란스럽다. 그러나 사전적 의미로는 ‘껍질’이 맞으니 ‘돼지 껍질’을 써야 한다. ‘조개껍데기’는 잘 살펴봐야 한다.
 
위의 사전 풀이대로라면 ‘조개껍데기’와 ‘조개껍질’이 모두 맞는 말이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둘은 같은 말이므로 혼용해 사용해도 무방하다. 부여군 세도면 방울토마토 농민들이 공사 현장의 먼지와 소음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방울토마토 농사가 부실해져 속빈 껍질만 남는 건 아닌지 염려스럽다.
 
<본사 총괄국장>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