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환자들의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동네 의원에서도 충분히 진료 가능한 감기 질환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찾는 경향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3월 7일자 1면 등 보도주민건강 최후의 보루인 동네 병의원 기반 붕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그래서 커지고 있다.1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간의 요양기관종별 건강보험 요양급여비용 심사실적을 분석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진료비 규모와 외래 진료비 점유율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가운데 상급종합병원 진료비 비중은 2005년 19.8%에서, 2006년 20.4%, 2007년 20.8%, 2008년 20.9%, 2009년 21.8%로 꾸준히 증가했다. 또 종합병원은 2005년(19.6%)과 2009년(19.7%) 진료비 비중에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의원의 진료비 비중은 37.3%에서 31.3%로 감소했다.치과, 한방, 보건기관도 적신호가 켜지기는 마찬가지다.이들 기관의 진료비 비중은 2005년 12.7%에서 2009년 10.4%까지 낮아졌다.외래진료비 점유율 추이를 보면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더욱 분명해진다. 상급종합병원의 외래진료비 점유율은 2005년 10.1%에서 2009년 14.1%까지 늘어난 반면, 의원 점유율은 52.5%에서 47.5%로 줄었다. 또 1차 의료 적합성 질환 가운데 상당수의 진료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도 환자들의 대형병원 선호 현상을 증명하는 대목이다.분석 결과 감기, 비염, 인후염 등 상기도(비강에서 후두까지) 감염이나 하기도 감염 가운데 15%, 그 외의 의원 외래형 질환의 28%가량의 진료가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이뤄지고 있었다.대전의 모 병원 관계자는 “민간 실비 보험 등이 보편화되면서 동네 병의원에서 진료 가능한 가벼운 질환에도 큰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