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충남대병원, 국군대전병원 등 전국 21개...충남.강원은 전무

국내에 방사선 피폭에 대비한 비상 의료시설이 절대 부족하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방사능은 사고시 피해지역이 광범위할 수밖에 없으나 국내 의료시설은 원전 근처에만 위치해 초동대처 부실화와 피폭환자에 대한 치료 공백 사태를 빚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충남도와 강원도는 아예 전무한 것으로 확인돼 정부 당국의 대책이 시급하다.20일 환경운동연합과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등에 따르면 국내에는 방사선 비상 진료기관으로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와 21개의 진료지정 의료기관을 지정, 운용 중이다.그러나 방사선 비상진료가 가능한 이들 시설은 원전이 위치한 곳을 제외하곤 대부분 시·도별로 1곳에 그치거나 아예 없는 지역도 있는 것으로 확인돼 방사선 누출에 대한 사회 안전망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수도인 서울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와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보건연구원, 서울대병원 등이 있는 것을 비롯해 한국원자력연구원내 하나로원자로가 위치한 대전의 경우 충남대병원, 국군대전병원 등 2곳이 지정돼 있다. 또 전남 3곳(국군함평병원,영광종합병원,영광기독병원), 경북2곳(동국대경주병원, 울진군의료원), 부산 3곳(부산대병원, 국군부산병원, 기장병원) 등 대부분 원전이 있는 지역에 2-3곳의 방사선 비상 진료기관을 운용하고 있다.반면 대구 (경북대병원), 광주 (전남대병원), 울산 (울산대병원), 충북 (충북대병원), 경기 (국군수도병원), 전북 (전북대병원), 제주 (한라병원), 경남 (경상대병원) 등 8개 시.도는 단 1곳에 불과했다.더욱이 충남도와 강원도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을 빚고 있다.방사능 물질은 일본 원전사고 경우에서도 볼수 있듯 국가. 지역 경계와 상관없이 바람에 따라 확산돼 자칫 이들 지역이 사각지대로 내몰릴 우려를 낳고 있다.환경단체 관계자는 “병원이 원전 인근에만 위치해 있어 광범위한 방사능 누출사고가 발생할 경우 치료 지역의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방사능 물질에 대한 피폭시 치료제와 의료기구 확보도 부족한 수준이다.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에 따르면 방사성옥소(요오드)에 대비하기 위한 약품인 안정화옥소(요오드)-KI는 총 125만 7430정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약 12만 명(성인기준 하루에 1정 열흘 가량 복용) 정도 복용 가능한 양. 또 세슘의 치료제인 프루시안블루(Prussian blue)는 약 130명 정도 치료할 수 있는 양만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방사선 피폭시 국민행동요령이나 연락병원, 약품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이 이뤄지지 않아 정부 차원의 사전 예방조치가 미흡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환경련 관계자는 “정부가 어떤 기준에서 대비 약품을 준비했는지 모르겠으나 원전이 안전하다는 자만심이거나 원전 인근에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준비된 듯 하다”며 “국가방사능방재대책본부를 시급히 설치하고, 사전 예방조치에 최선을 다하는 것만이 현 상황에서 국민을 조금이라도 안심시키고 피해를 덜 수 있는 최소한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