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유권자 272만 명의 치열한 선거 참여의식만이 구태를 걷어내고 충청의 미래를 견인한다. ▶관련기사 면새로운 지방자치·교육자치의 일꾼을 뽑는 6·2지방선거가 13일간의 공식선거운동을 마치고 2일 충청인들의 준엄한 선택을 받는다.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2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전 335개, 충남 734개 투표소를 비롯해 전국 1만 3338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실시된다. 이번 선거에는 대전·충남 337명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교육감, 교육위원 등 모두 3991명의 일꾼을 뽑는다.올해 지방선거는 역대 유례를 찾기 힘들만큼 과열과 혼탁, 비방전이 난무하고, 중앙정치의 정쟁 틈바구니에 매몰되면서 지방자치의 참일꾼을 뽑기 위한 사회적 담론이 함몰된 면이 있다.또 사상 첫 1인 8표제가 실시돼 유권자들이 각 후보들의 면면을 꼼꼼히 가려내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을 부인 못한다.그러나 유권자의 참정권 외면은 정치적 정상배를 지역일꾼으로 뽑고 능력 있는 정치신인들의 진출을 가로 막는 폐해를 낳는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지난 2006년 5·31지방선거를 통해 선출된 전국 기초단체장 230명 중 절반에 가까운 110명(47.8%)이 비리 등으로 기소된 점도 묻지마 식 투표가 낳은 산물이다.아무리 뽑아야 할 후보를 골라내는 일이 쉽지 않다고 해도 잘못 뽑아놓고 4년 동안 자책하지 않으려면 선거공보를 잘 보고 후보를 선택한 뒤 투표장에 꼭 가야 한다. 선관위가 유권자의 집으로 보낸 공보를 보면 후보자의 재산, 납세실적, 병역, 전과 등 도덕성을 짐작해볼 수 있는 기초자료들이 있고 소속 정당, 경력, 공약 등을 통해 자질도 엿볼 수 있다.유권자의 선거 참여는 유권자의 가장 강력한 권리이자 의무이다.투표율이 50% 미만이면 주민대표성 등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한다.준비없이 바람과 지역정서에만 기대 출마한 후보들을 표로 심판하고, 주민들을 대표해 지방자치를 이끌 참신한 일꾼을 뽑는 것도 유권자가 투표를 행사할 때 가능하다.양승태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1일 담화문을 통해 “소신 있는 투표야말로 이 나라의 주인이 바로 유권자 여러분임을 분명히 확인시켜 줄 것”이라며 유권자들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를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