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 여부 여전히 안갯속 사태 해결 장기화 가능성

◆부도 피해업체들 계룡병원 건물에 유치권 행사
현재 계룡병원 본관과 별관에는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건설업체 등이 유치권을 신고해놓고 있다.
이들의 채권액만 약 50억-70억 원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법원 경매를 거치더라도 1순위 채권자인 주채권은행 등에 밀려 채권 확보가 불투명한 상태다.
모 건설업체 관계자는 "법원 경매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주채권은행에게 돌아갈 뿐 대금을 받지 못한 후순위 채권자들은 피해를 입을수 밖에 없다"며 "자금압박이 장기화될 경우 피해업체들의 연쇄 부도사태를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9월 또는 10월 경매낙찰이 이뤄지더라도 계룡병원 건물의 정상가동까지는 시일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건물낙찰자가 현재 유치권을 주장하고 있는 피해업체들과 어떤 식으로든 협의를 마무리해야 하나 피해액이 커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계룡병원 인수설 촉각
지역사회 일각에선 계룡병원에 대한 인수설도 꾸준히 제기돼 촉각이 쏠리고 있다.
현재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계룡병원 인수위원회 등이 구성돼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인수주체를 찾을 수 있느냐는 여전히 안갯속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최근 일부 피해 업체를 중심으로 병원 인수자 물색에 나서 물밑 협상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일각에선 병원 인수가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지역 건설업체의 한 인사는 “전체 채권액이 200억 원대 에 달하지만 실제 건물 인수비용 등을 감안하면 투자비용이 크게 초과되는 상황은 아닐수도 있다"며 "결국 채권단 및 대금을 받지 못한 피해업체들과 협의가 어떻게 진행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룡병원 일부 시설 재가동 촉각
일부이긴 하나 병원 입주시설에 대한 재가동 논의가 이뤄져 관심이다.
계룡병원 채권단 등에 따르면 계룡병원 지하 1층에 위치한 계룡병원장례식장이 최근 채권단과 협의를 마치고 조만간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계룡병원장례식장은 중구 오류동에 위치한 계룡병원이 갈마동으로 확장 이전하면서 새로 입주했었다.
그러나 지난 5월 초 계룡병원이 부도 처리되면서 장례식장도 영업이 정지되는 등 피해를 입었다.
계룡병원장례식장 측은 채권단과 협의가 원만히 해결되면서 지난 20일 장례식장에 이용될 냉장시설 등을 새로 들여놓는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장례식장 측은 부도여파 뒤 병원 건물에 대한 한전의 단전 조치도 자체적으로 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룡병원은 지난 2월부터 부도이전까지 한국전력에 체납된 금액만 5783만여 원에 달하고, 체납된 수도요금(4.5월분)도 700여만 원에 달해 대전시 상수도사업본부로부터 20일자로 건물 단수 조치가 예고됐었다.
계룡병원장례식장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긴 어렵지만 내달쯤 정상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