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의 최대 쟁점인 세종시와 4대강 사업이 사실상 야당의 압승으로 귀결된 6.2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6·2 지방선거 이후 첫 TV·라디오 생방송 연설을 통해 “(세종시 문제로) 국론 분열이 지속되고, 지역적 정치적 균열이 심화되는 것을 더 이상 방치할 수는 없다”며 국회가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이번 회기안에 표결 처리해줄 것을 요청했다.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청와대의 '선(先)당론 결정-후(後) 국회표결' 방침이 6월 국회 표결 처리를 통한 조기 매듭으로 기조가 바뀐 것이다.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정권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지지 않고 국가 백년대계를 생각해서, 그리고 지역 발전을 위해서 더 좋은 방향으로 수정(안)을 추진한 것”이라며 “이에 대해서는 지금도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이 대통령은 또 "국정의 효율을 생각하든, 국가경쟁력을 생각하든, 통일 후 미래를 생각하든, 행정부처를 분할하는 것은 두고 두고 후회할 일을 만드는 것"이라며 "국회의원 한 분 한분이 여야를 떠나 역사적 책임을 염두에 두면서 현명한 판단을 내려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이 대통령은 이어 "하루라도 빨리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기업들에게도 더 이상 기다리게 할 수는 없다"며 "관련 법안들이 이미 지난 3월에 제출되어 있으므로 국회가 이번 회기에 표결 처리하면 그 결정을 존중할 것"이라고 밝혔다.아 대통령은 또 야당의 반발을 사고 있는 4대강 사업과 관련해서도 "4대강 살리기는 미래를 위한 투자이지만 먼 훗날이 아니라 바로 몇년 뒤면 그 성과를 볼 수 있는 사업"이라며 당위성을 설파한 뒤 "4대강 수계에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의 의견도 다시 한번 수렴하겠다"고 밝혔다.이에 대해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당과 충청권 시도지사 당선자들은 잇따라 성명을 내고 '독선의 극치'라며 평가절하한 뒤 정부의 수정안 철회를 촉구하는 등 즉각 반발하고 나서 험로를 예고했다.또 세종시 수정안을 놓고 여권의 '국회 표결론'과 야권의 '정부 철회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데다, 이 대통령이 4대강 사업에 대해 강행 의지를 밝힘에 따라 MB정부의 국정과제를 둘러싼 여야간 대치가 더욱 첨예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