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상을 입은 어린이 5명 중 1명은 성장판이 손상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에 대한 안전 보호장구 착용의 중요성을 새삼 강조하는 조사 결과여서 주목된다.

서울아산병원은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외상으로 병원 내 소아전용 응급센터를 찾은 어린이 488명 중 골절환자 365명을 분석한 결과 골절이 성장판 손상으로 이어진 경우가 21%(76명)에 달했다.

성장판은 뼈의 성장을 담당하는 부위로 팔·다리·손가락·발가락·손목·팔꿈치·어깨·발목·무릎 등의 신체 뼈 중 관절과 직접 연결돼 있는 긴 뼈의 끝부분에 위치해 있다. 이 성장판이 손상되면 키가 제대로 크지 않을 수 있다.

외상을 당한 488명을 보면 남아가 347명(71%)으로 여아(141명·29%)보다 훨씬 많았다.
다른 사람의 과실로 다친 아이는 120명(25%)에 불과했으며, 아이 혼자서 놀다 다친 경우가 368명(75%)으로 다수였다.

연령별로는 6살과 9~11살 어린이에게서 골절 환자가 많았다.
넘어지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진 경우, 자전거타기 등이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신체 일부분에 골절을 입은 365명의 골절 부위는 팔꿈치가 86명(24%)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어깨관절 62명(17%), 족부 36명(10%)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자전거 사고를 당한 38명 가운데서는 팔꿈치 골절 10명(26%), 팔과 손목 골절 8명(21%), 쇄골 골절 6명(16%) 등의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38명 중 머리 보호장구를 착용한 아이는 7명(18%)에 그쳤으며, 팔·다리의 안전 보호장구를 착용한 경우는 단 2명(5%)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평소 관절주위 보호대 착용과 같은 안전 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