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이 새로운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본격화하면서 각 정당이 당권을 향한 각 주자들의 경쟁으로 요동치고 있다.한나라당은 내달 14일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전당대회를 개최키로 결정했다고 20일 밝혔다.당 비상대책위가 21일 전대 개최안을 최종 확정하면 당헌?당규에 따라 내달 5일 전대 후보자 등록과 함께 열흘간 선거운동이 본격화된다. 전대에 앞서 부산과 광주, 대전, 대구, 강원 등 5개 지역을 순회하면서 후보자 토론회를 갖는다.이번 전대를 통해 구성될 당 지도부는 2012년 총선 공천과 대선 경선 관리를 주도한다는 점에서 그 어느 때보다 막강한 권한과 책임을 갖게 된다. 특히 박근혜 전 대표와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이 불출마 의사를 밝히고 정몽준 전 대표가 거취를 결정하지 못한 가운데 이번 전대도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간 계파 대리전 성격이 묻어나고 있다. 이번 전대 구도는 친이-친박 중진들의 각축전 속에 소장파들이 도전장을 내민 형국이 되고 있다. 지방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물러난 정몽준 전 대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어 주목된다.민주당도 7월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으로 술렁이고 있다.특히 정세균 대표가 갑작스럽게 7월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검토하기로 하면서 당비주류가 강력 반발하는 등 당내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정 대표는 21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릴 광역.기초단체장 당선자 워크숍에 앞서 최고위원-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를 긴급 소집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는 지난 8월 하순으로 확정된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다시 논의가 있을 예정이며, 7월 11일 전당대회 개최안이 급부상할 전망이다. 갑작스럽게 조기 전당대회안이 나온 데에는 당내 비주류들이 정 대표의 대표직 사퇴를 요구하는 등 반(反) 정세균 연대가 현실화된 것이 가장 큰 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주류 의원들은 지난 16일, 내달 6일로 임기가 완료되는 즉시 현 지도부의 전면사퇴와 전당대회를 위한 임시지도부 구성 등을 촉구하며 당 지도부를 압박했다. 여기에는 정 대표가 재출마 의사를 기정사실화하고 단일지도체제를 고수하면서 당권과 대권을 함께 독식하려고 한다는 비주류들의 우려가 깔려있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비주류 모임인 쇄신모임 소속 의원 7명은 조기전당대회론이 불거져 나온 19일 밤 긴급회동을 갖고 조기 전당대회 개최 시도를 강력 저지한다는데 의견을 모았다.이들은 또 21일 오전 다시 회동을 갖고 이날 있을 최고위원-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식등을 논의할 예정이어서 계파간 힘겨루기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