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박재완 국정기획수석의 ‘세종시 수정안 폐기시 인센티브 백지화 발언(본보 6월 21일자 1면 보도)’을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특히 박 수석의 이번 발언은 여권내 일부와 충청권에서 주장하는 ‘세종시+알파’ 절충안은 둘째치고 세종시 원안에 포함된 자족기능 확보안마저 크게 위축시킬 수 있는 수위란 점에서 원안 훼손론으로 확전되고 있다.야권은 박 수석의 발언에 대해 정부가 원안이 추진되면 마치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식의 표현은 일종의 협박이라며 원안의 본래 취지를 왜곡하지 말라며 즉각 반발했다.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21일 국회 앞에서 시민단체 주최로 열린 세종시 수정안 폐기 촉구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은 ‘국회에서 해결이 되면 원안대로 가겠다’고 하는데 청와대 비서진에서는 ‘손해가 난다, 어쩐다’ 하면서 국민을 협박하고 있다”며 “이것은 다시 한 번 6·2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을 모르는 결과”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이는 박 수석이 지난 20일 한 방송에 출연해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 과학비즈니스벨트 지정이나 기업유치를 위한 세제혜택은 없을 것이란 취지의 발언을 한데 따른 것이다.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도 21일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여권 일각에서 세종시가 원안으로 가게 된다면 기업유치나 과학비즈니스벨트 등 플러스알파는 없다고 협박하고 있다”면서 “이것은 원안에 따라 당연히 유치되어야 할 기업유치를 방해하거나 대통령 자신이 대통령 선거 당시 공약한 과학비즈니스벨트도 이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유치한 작태”라고 공개적으로 문제삼았다.선진당은 또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지난 6.2지방선거 후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는 대통령의 말이 진심이라면 결자해지라는 관점에서 스스로 세종시 수정안을 철회했어야 했다”며 “그러나 철회는 커녕 대통령의 최측근인 박재완 수석은 수정안 부결시 세종시에 정부 부처 이전 외에는 아무것도 유치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국민을 협박하고 있다”고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냈다.반면 정부, 여당은 전날 박 수석의 발언에 힘을 실으며 세종시 수정안의 당위성을 피력해 세종시 자족기능 확보방안을 놓고 여야간 뜨거운 공방을 예고했다.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세종시와 관련해 플러스 알파는 막연한 말일 뿐 구체적 대안이 없었다"며 전날 박 수석의 발언에 힘을 실은 뒤 "지역의 한 당선자는 원안 그대로 가도 수정안의 MOU 기업이 모두 들어온다는 거짓으로 유권자 표심을 우롱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또 권태신 국무총리실장도 이날 국회 정무위 전체회의에 출석한 자리에서 수정안 부결시 기업들에 대한 인센티브가 줄어들 것이라는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의 최근 발언과 관련, “행정도시로 가는데 여기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까지 더 주면 다른 지역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 수정안이 통과되면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백지화 불가피론을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