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만 세워둔 채 4년간 부지하세월에 빠져있던 대전 서남부권 호수공원 조성사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농업기반공사 소유의 생산녹지로 4년 전 낙점된 예정 부지를 활용하되 재해방지용 유수지 조성사업, 3대 하천정비사업과 주파수를 맞춰 시행할 경우 당초 걸림돌로 작용했던 천문학적인 예산의 짐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대전시에 따르면 호수공원은 우선 자연생태 습지를 조성하고 갑천의 물을 끌어들여 호수형태를 갖추는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사업 예정 부지 일대가 상습 침수 구역인 만큼 이곳에 유수지를 만들면 치수가 가능한 자연 그대로의 친환경적인 습지를 조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여기에 국비로 시행 중인 3대 하천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돌보(洑)를 설치해 그 물을 유수지로 유입 시키면 답이 나올 수 있다는 게 대전시의 구상이다.일단 경제성 측면에서는 합격점을 부여할 만하다.3대 하천 정비 사업과 재해방지용 유수지 조성 사업 모두 국비 지원의 사정권에 있는 데다 사업 예정 부지 역시 보상 등의 절차가 필요 없는 농업기반공사 소유여서 기관 협의 진척여하에 따라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가능한 지방예산 몫을 줄이면서 친환경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라며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최적의 방안을 그려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염홍철 대전시장 당선인의 확고한 의지 또한 호수공원 조기 가시화를 부추기고 있다.민선 3기 당시 호수공원 조성사업에 공을 들였던 염 당선인은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이를 호언했고, 최근 실국 업무보고 자리에서도 “서남부권 호수공원 조성은 계획에 그치지 말고 실제적으로 착수될 수 있도록 그런 마음가짐으로 시작하라”고 강력히 주문했다. 민선 4기 출범과 함께 서랍 속에 묻힌 호수공원은 약 82만 6000 ㎡(25만 평) 규모에 사업비 2370억 원 가량을 투입, 서남부 2·3단계와 연계·시공하는 방안으로 가닥이 잡혀 있으나 여건이 변화한 만큼 일정 부분 궤도 수정은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