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 지능저하 유발 논란 제품 등 13종
대전 하천변 등 방역·충남 농가에 배포

대전에서는 올해 일반 하천변과 동네 마을회관 방역작업에 투입돼 사용됐고, 충남 역시 읍면동 농가에 배포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성분이 포함된 방역작업에 주민들이 거의 무방비로 방치된 것으로 파장이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영희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살충제의 방역당국 구매 및 사용내역’ 자료에 따르면 대전과 충남·북 등 충청권 3개 시·도를 포함, 전국 10개 지자체가 선진국에선 퇴출된 살충제를 구입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안전성 논란이 제기된 살충제 성분은 ▲피리미포스메칠 ▲바이오레스메츠린 ▲알레스린 ▲바이오알레트린 ▲에스바이올 ▲붕산 ▲쿨로르피리포스 ▲페니트로치온 ▲프로폭술 ▲히드라메칠논 ▲퍼메트린 ▲피페르닐부톡시드 ▲피레트린엑스 등 총 13종이다.
이 가운데 클로르피리포스는 임산부에 노출되면 태아 지능저하 등 부작용 논란이 일고 있는 제품으로, 미국에서는 2000년, 유럽연합은 2008년 자진 철수됐다.
국내에서도 지난 5월 27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에서 클로르피리포스 함유 제품의 허가제한 및 생산중단 건의가 있었다. 이에 따라 식약청은 지난 7월 의약외품 살충제 안전관리 개선방안을 마련,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55개 살충제 성분 가운데 미국이나 유럽연합에서 사용되지 않는 13종의 살충제 성분에 대해 올 연말까지 안전성 재평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그러나 식약청은 이 같은 사실을 방역당국인 질병관리본부와 일선 지자체에 통보하지 않았고, 각 지자체는 이들 성분이 포함된 살충제를 하천과 마을, 등산로, 공원 등의 방역에 그대로 사용했다고 최 의원은 밝혔다.
대전은 안전성 논란이 제기된 13종 살충제 성분 중 하나인 피리미포스메칠 등 2종 341ℓ를 구입, 이 가운데 331ℓ를 하천변과 관내 마을회관 방역작업에 살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충남은 퍼메트린 등 살충제 3종, 10만 6437통을 구매해 9만 1367통을 읍면동 농가에 배정, 사용했다.
더욱이 이들 살충제는 안전하다고 판명된 42종의 대체 제품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식약청의 직무유기 논란이 대두되고 있다.
최영희 의원은 22일 충북 청원 오송보건의료행정타운에서 열린 식약청 국정감사에서 “대체제가 없었다면 불가피하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미 안전한 성분으로 구성된 대체제가 42종에 달했다”며 “이 같은 사실을 방역당국에 알리지 않은 식약청의 직무유기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한 성분이 방역에 그대로 사용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노연홍 식약청장은 “최초 허가 당시에는 안전성 문제가 없었다”며 “재평가를 거쳐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