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의원 45명 서명 확보 28일부의요구서 제출 예정

여야가 지난 22일 국회 국토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의 본회의 부의 여부를 놓고 격한 설전을 벌이는 등 정국이 세종시 수정안 2라운드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가 23일 국회 국토해양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을 본회의에 부의하기 위한 서명 작업 속도전에 나섰다.지난해 행정부처 이전 백지화를 담은 세종시법 개정안을 제출했던 임동규 의원은 이날 당 소속 의원 40여명으로 서명을 받아 본회의 부의요구서 제출에 필요한 30명 이상의 의원을 확보했다.서명자는 임 의원을 비롯해 이윤성, 안경률, 장광근, 심재철, 이병석, 정두언, 진수희, 이군현, 권택기, 백성운, 신지호, 안형환, 이춘식, 정태근, 조해진, 진성호, 차명진 의원 등 45명이다.친이계는 28일 본회의에 부의요구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친이계가 90여명에 달하는 만큼 중립성향 일부 의원까지 합쳐 최대 100명에 육박하는 의원들의 서명 동참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친이계 일부 의원은 부의요구서 제출과 함께 박희태 국회의장을 만나 수정안 상정을 위한 설득작업에도 나설 계획이다.정두언 의원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의 반대는 비겁한 정치로, 자신의 소신을 기록에 남기는 것을 왜 두려워하는지 묻고 싶다"며 "충청 등 지방표를 얻으려 수도분할에 찬성하고 수도권표를 잃지 않으려 본회의 표결을 반대하는 것은 정말 정략적"이라고 주장했다.하지만 친박계는 수정안 부의에 대해 '오기정치'라고 비판하면서 본회의 부의시 참석해 부결시킨다는 방침이어서 당내 갈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친이계가 오는 28일 본회의에서 부의 요구서를 제출하게 되면 수정안이 본회의에서 표결 절차를 거치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통상 본회의 안건 상정은 여야가 합의하는 게 관례지만 국회법상 최종 권한은 국회의장에게 있다.세종시 수정안 부의를 둘러싼 갈등은 고위당정회의에서도 불거졌다.정운찬 국무총리는 "세종시 문제는 국가적 사안인 만큼 국회법에 따라 전체 의원의 뜻을 물어야 한다"고 밝혔지만, 친박계 서상기 의원은 "본회의에 수정안을 부의하면 야당과 충돌이 불가피하고 국민을 실망시킬 것"이라고 반박했다.야당은 이날 한나라당 친이(친이명박)계가 국회 국토해양위에서 부결된 세종시 수정안을 본회의에 올리기 위한 서명작업에 착수하자 "지방선거 민심에 대한 도전"이라며 일제히 공세에 나섰다.정세균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종시 관련 법안을 본회의에 직권상정한다면 '파부침선(破釜沈船. 싸움을 앞두고 밥솥을 부수고 배를 가라앉혀 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겠다는 뜻)의 각오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민주당은 오는 28, 29일 예정된 본회의에 수정안이 상정되는 것을 대비해 당 소속 의원들에게 해외 출장 금지령을 내렸다.자유선진당 이회창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와 기자간담회를 통해 "여당이 상임위 부결로 폐기 처리하지 않고 본회의 표결까지 몰고 간다면 이 정권의 정치적 자살이 될 것"이라며 강력 대응 방침을 밝혔다.선진당 권선택 원내대표는 오전 민주당 박지원 원내대표를 만나 세종시 공조 방침을 재확인한 데 이어 오후에는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를 방문, 수정안의 본회의 회부 방침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야당은 일단 수정안의 본회의 부의시 의사일정 협의 거부를 통해 맞서고 여권이 직권상정을 통해 강행할 경우 야권 공조를 통해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수정안이 본회의에 갈 경우 회의에 참석해 반대표를 던질 가능성이 높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실력저지'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한편 박희태 국회의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법대로 하겠다"며 "법에 절차가 정해져 있고 그 절차에 따라서 하면 된다"고 말해 본회의 상정 가능성을 열어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