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핵심4개 법안의 국회 상임위 부결에 따른 후폭풍이 정치권의 ‘책임론’으로 비화되고 있다.야권이 일제히 정운찬 국무총리를 겨냥해 사퇴를 요구하고 나서는 등 세종시 수정안 부결과 함께 정 총리의 거취문제가 또 다시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이는 정 총리가 ‘세종시 총리’로 불릴 정도로 수정안 관철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국회 통과가 불투명해지면서 자신의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또 집권 후반기 인적쇄신과 개각 등을 예고한 청와대와 지방선거 패배 후 민심수습이 당면현안인 여권에도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종시 수정안에 총대를 메고 국회를 정쟁의 도구로 삼은 정운찬 총리는 책임있는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요구한다”며 사퇴를 압박하고 나섰다.박지원 원내대표도 이날 “세종시 수정안은 예선에서 탈락했다. 그러면 감독을 교체해야 한다”며 “대통령은 더이상 소모적인 정쟁으로 국정을 소홀히 할 게 아니라 생산적인 국정을 살펴달라”고 촉구했다.이만섭 전 국회의장도 이날 모 라디오프로그램에 출연해 “국회 상임위에 부결된 수정안을 다시 국회에 회부한다는 것은 절대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데 이어 정운찬 총리의 거취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했다.이 전 국회의장은 세종시 파문과 관련한 정운찬 총리 책임에 대해 “책임은 여당을 결속시키지 못한 대통령의 리더십 부족에 대해서 비판을 받아야 하고, 둘째는 이것을 앞장서서 추진했던 국무총리가 국민에게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본인의 잘못이 없어도 정치적 책임을 지는 자리가 바로 국무총리”라고 못박았다.앞서 자유선진당은 지난 22일 논평을 통해 정운찬 총리를 ‘세종시 특임총리’로 규정한 후 “정운찬 총리는 온갖 술수에 매진할 게 아니라 이쯤에서 그만 깨끗이 물러나라”고 압박했다. 한편, 정운찬 총리는 지난 14일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 자신의 거취 문제와 관련, “자리에 연연하지 않지만 적어도 당분간은 국정을 수습하도록 하겠다”며 논란을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