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임영회 의원 특정대학 출신 편중 지적

박병석 의원 "불성실 공시법인 처벌 강화해야"

박병석 의원
임영호 의원
한국거래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불성실 공시법인 증가문제와 신입사원 채용에서 특정 대학 편중 문제가 집중 제기됐다.

한국거래소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된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주당 박병석 의원(대전 서구갑)은 주식 상장사 중 불성실 공시법인 증가에 따른 처벌 방안 마련을 촉구했고 자유선진당 임영호 의원(대전 동구)은 거래소의 신입사원 채용시 이른바 SKY(서울대· 고려대·연세대)대학과 서울소재 대학 집중에 대해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주식시장의 불성실 공시법인이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올 8월말 현재 25사로 전년 동기의 16사에 비해 56.3%나 증가했고 코스닥시장은 올 8월말 현재 71사로 전년 동기 43사에 비해 65.1%나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는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불성실 공시법인 329사중에 123개사(37.3%)가 2번 이상 공시의무 위반을 했다”며 “불성실 공시법인의 증가뿐만 아니라 공시의무위반 재발 비율도 높은 것은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박 의원이 제공한 ‘2008년 이후 주식시장별 공시의무 위반 재발 기업비율’을 보면 코스피(KOSPI)는 총 85개사의 불성실공시법인 중 2회 이상 불성실공시법으로 지정된 비율이 32.9%(28개사)였고 코스닥(KOSDAQ)은 244개 불성실공시법인 중 38.9%(95개사)가 재발 업체 였다.

박 의원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되더라도 제재 수위가 낮아 공시의무 위반이 증가하고 재발비율이 높다”며 “불성실 공시가 재발 될 때는 가중 처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영호 의원은 한국거래소의 신입사원들의 대학 편중 문제를 지적하면서 고른 인재 채용을 위한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임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 한국거래소에 입사한 신입사원 44명 중 27명(61.4%)이 SKY대학 출신이었다. 여기에 외국대학 출신 1명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 3명을 포함하면 31명(70.5%)이 특정대학 출신으로 고졸 출신은 단 1명도 없었다.

대학 소재 지역별로 보면, 서울 소재 대학 출신이 총 38명(86.4%)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대전 소재 대학 출신은 3명(6.8%), 부산 소재 대학 출신은 2명(4.6%)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임 의원은 “한국거래소가 우수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서울 소재 고등학교 출신이거나 과학고·외고 및 명문대 출신 등 학벌위주로 채용하는 것은 지역 간 인재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나아가 지역발전의 양극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며 “학벌위주가 아닌 실력위주로 채용과 다양한 능력을 소유한 인재를 골고루 뽑을 수 있도록 인식을 전환하고 필요하다면 제도개선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