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당대회를 앞둔 민주당에 ‘돈선거 경계령’이 떨어졌다.6·2 지방선거 승리로 당 입지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따라 전대 후보군이 난립, 자칫 돈 선거 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당내 일부 의원들은 선거 과열에 따른 금품선거 차단을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민주당 김부겸, 정장선, 원혜영, 이낙연, 김동철, 문학진 의원 등은 23일 모임을 갖고 ‘돈 안드는 선거문화’를 조성하고 이를 위한 개선책을 마련, 당헌?당규 개정시 반영하기로 뜻을 모았다. 이들 의원들은 잘못하면 전당대회가 새로운 발전 계기가 아니라 구태 정치의 장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에 의견을 모으고 전대에 출마하지 않는 중진 의원 중심으로 개선안을 만들어서 당에 건의하기로 했다.현재 당내에서는 전당대회 출마 시 수억 원이 든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당 기탁금과 같은 공식비용 외에 여론조사와 홍보, 조직동원 등에 지출되는 돈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당 기탁금만 최고위원, 대표직에 따라 5000만 원∼1억 원 안팎에 달하는데다 자신이 유리한 지역위원회 100곳에 선거운동원 1명만 배치해도 한 달에 1억∼2억 원은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돈선거 차단을 위해 중앙선관위에 경선관리를 위탁, 공직선거처럼 선거관리를 엄격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으며 모바일.인터넷 투표 도입 등도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