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현충원에 6명 묻혀 ··· 누리꾼들, 이장 촉구 청원운동도
‘5공(共) 군부 인사’들의 현충원 안장을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가열되고 있다.
1970-80년대 12·12사태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압 관련자들이 대부분 고령화로 접어들면서 이들의 사후 현충원 안장 문제가 사회적인 현안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
또 일부에선 현재 병환 중인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 등 내란죄 등으로 처벌받은 전력이 있는 전직 대통령의 현충원 안장에 대한 타당성 여부도 불을 지피는 분위기다.
5·18 기념재단 등에 따르면 12·12사태 관련자나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참여자 중 최소 7명이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다.
5·18 기념재단은 이들의 국립묘지 안장 실태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12·12사태와 5·18 광주민주화운동 때 작전 관련자 7명이 서울현충원에 1명, 대전현충원에 6명이 각각 안장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재단에 따르면 12·12 사태 관련 기소자 44명 중 ▲유학성 전 국방부 군수차관보, ▲정도영 전 보안사 보안처장, ▲정동호 전 청와대 경호실장 등이 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백운택 전 71방위사단장은 서울 국립현충원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5공 비자금 조성에 연루돼 복역한 전력 등으로 최근 논란을 빚은 ▲안현태 전 대통령 경호실장도 대전현충원에 묻혀 있다.
5·18 당시 작전에 참여해 서훈된 사람 중 ▲진종채 당시 2군 사령관 ▲소준열 당시 전투교육사령관이 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있다고 재단은 밝혔다.
현행법상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압으로 유죄 확정 판결만 받지 않았다면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다. 또 유죄가 확정됐다고 하더라도 사면복권됐을 경우 국가보훈처 국립묘지안장대상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안장이 가능하다.
현재 5공 인사들의 현충원 기습안장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선 이들의 이장을 촉구하는 청원운동에 나서는 등 반발하고 있다.
현재 모 포털사이트에는 ‘국립묘지 기습안장된 12·12 및 5·18 학살 관련자 7명을 이장하라’는 청원서명운동이 400명을 목표로 진행 중이며 13일 현재 344명이 참여하는 등 부당성을 호소하는 누리꾼들의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한 누리꾼은 “12·12 반란과 5·18 학살 관련자들이 호국보훈의 성지인 현충원에 안장됐다는 것은 국가의 정체성을 뒤흔드는 것과 다름없다”며 “국가가 얼렁뚱땅 기습안장한 이들에 대해 이장 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5·18 기념재단 측은 이들의 현충원 안장에 대한 부당성을 피력하며 향후 12·12와 5·18 관련자들의 국립묘지 안장 현황에 대한 조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전현충원 측은 “현충원 안장은 국립묘지안장대상심의위 등의 심의를 거쳐 결정되고 현충원은 이를 집행하는 기관으로 안장 논란에 대해 언급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으며, 12·12와 5·18 관련자들의 국립묘지 안장 현황에 대해서도 “별도로 관리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