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할 정부부처(현9부2처2청)에 대한 변경 고시(告示)가 빠르면 이달 중에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지난달 29일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최종 부결된데 따른 정부의 후속 조치다.정부는 부처 이전에 앞서 변경고시를 해야 하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해 물밑작업에 나서면서 그 동안 변경고시를 의도적으로 회피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관련기사 4.8면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세종시 이전대상 기관 현황을 파악해 이르면 이달 중 변경고시를 할 예정이다.정부는 2005년 10월 ‘중앙행정기관 등의 이전계획’을 고시하고 12부4처2청 등 49개 행정기관이 옮겨간다고 발표했으나 이후 조직이 개편돼 이전 대상 기관은 9부2처2청 등 36개 행정기관으로 줄었다.행안부는 기구 통폐합으로 이전이 애매해진 부처는 주무부처가 어디냐에 따라서 이전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그러나 세종시 원안에는 이전 대상이었던 기관들 중 상당수가 지난 2008년 정부 조직 통폐합 과정을 거치며 행안부 등 이전 제외 기관에 흡수 통합돼 이들의 세종시 이전 여부가 뜨거운 감자로 대두될 전망이다.행안부는 원안 추진을 서두른다는 방침에 따라 세종시 조성 공사 1단계 2구역 공사도 조만간 발주할 계획이다.1단계 1구역은 총리실 건물이며 2구역 건물은 경제부처의 청사다.행안부는 2구역 공사 역시 이르면 이달 중 조달청을 통해 발주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행안부는 나머지 2단계, 3단계 공사도 설계도 제작 등 관련 절차를 조속히 밟을 방침이다.세종시 원안에 따르면 정부청사 건립은 오는 2014년까지 완공키로 돼 있다. 그러나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 제출되면서 1단계 1구역의 국무총리 청사만 신축공사가 진행되고 있을 뿐 나머지 청사 건립은 전면 보류됐다. 정운찬 국무총리도 이날 오전 주재한 총리실 간부회의에서 “세종시를 잘 만들기 위한 후속 조치를 착실히 밟아나가겠다. 중앙행정기관 이전 변경 고시와 청사 건축 공사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