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천안 유치를 대표 공약으로 내세운 한나라당 김호연 당선인이 7.28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에 입성하면서 과학벨트의 향배도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그 동안 세종시로 모아졌던 충청권 여론이 천안 유치를 내세운 김 당선인의 공약 이행과 상충되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타 시도와 경쟁은 물론 집안 싸움으로까지 확전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한나라당 김호연 당선인은 28일 당선 소감에서 “과학벨트는 앞으로 천안 발전을 20년 이상 앞당길 수 있는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천안뿐만 아니라 충남의 발전 속도도 빨라지는 유치안 추진을 위해 안희정 충남지사에게도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말하는 등 강력한 추진의사를 나타냈다.그는 이를 위해 천안시민들로 구성된 범시민유치위원회 발족에 이어 국회에서도 ‘천안 과학벨트 유치 특별법안’ 발의와 특위구성에 나설 것임을 천명했다.이에 따라 세종시 수정안 국회 부결 후 정부의 과학벨트 입지 재점토 방침에서 촉발된 과학벨트 유치전은 타 시도는 물론 충청권내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당초 과학벨트 입지가 계획됐던 충남 연기군민들은 천안의 유치전에 반감을 드러내고 있어 충청권내 여론이 양분될 우려를 낳고 있다.이에 대해 민주당 양승조 국회의원(충남 천안갑)은 “(과학벨트 유치 계획이) 이명박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이었던 만큼 충청권 입지 발표가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입지 주장 이전에 대통령과 정부가 과학벨트 충청권에 유치 공약이 먼저라는 것이다.이는 세종시 수정안 부결 이후 전국 각지에서 과학벨트 유치 계획을 발표하는 상황에서 충청권내 여론이 사분오열될 경우 과학벨트 유치 자체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이와 함께 김 당선인도 과학벨트의 충청권 유치란 대명분에 자유로울수 없고, 대선 공약 이행 촉구와 충청권 이외의 타 지자체의 도전을 우선적으로 물리쳐야 하는 충청권의 입장에서 어떤 행보를 취하느냐란 과제를 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