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실·국-5개구청-산하기관 추진계획 수립…본보 캠페인 물꼬

대전을 쓰레기 없는 도시로 만들기 위한 전방위적인 광폭의 운동이 전개된다.이는 본보의 쓰레기 관련 캠페인과 같은 궤적으로 물꼬는 관을 중심으로 텄지만 졸속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민간의 참여를 극대화하는 운용의 묘가 발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환경녹지국을 중심으로 실국별, 산하기관별 쓰레기 `제로도시 대전` 추진계획을 내놨다. 5개 자치구도 민간 참여를 유도하는 방향에서 쓰레기 제로 운동에 적극 동참하는 분위기다.시 환경녹지국은 수준 높은 클린서비스, 시민참여 클린운동 등 ‘시민과 함께 쓰레기 없는 대전’을 추진하고, 자치행정국은 청사 및 주변 주요노선에 대한 ‘Clean day`를 월1회 운영키로 했다. 경제과학국은 농수산물도매시장 쓰레기 제로화를, 문화체육관광국은 문화·관광명소와 체육행사 청결환경 조성을, 교통건설국은 대중교통·도로 시설물과 공영주차장을 대상으로 한 쓰레기 제로화를 각각 추진한다.도시주택국은 개발사업 현장과 시내 전역 불법광고물 정비를 통해 쓰레기 다이어트에 일조하고 소방본부는 119 시민산악구급대와 수상구조대를 통해 정화활동을 전개한다. 주민밀착형 행정이 용이한 5개구의 활약도 기대된다.동구는 동별 월 1회 지정 집중 청소의 날을 운영하고, 중구와 서구, 대덕구는 주민이 참여하는 클린운동, 유성구는 관광명소를 중점으로 청결활동을 벌인다.대전시 산하기관도 기관별 업무 특성을 살려 쓰레기 제로 운동에 승선했다.대전도시공사는 청소차량(119대)을 동원해 홍보물을 부착 운행하고, 엑스포과학공원은 월 1회 모든 입주업체가 참여하는 청결의 날을 지정 운영키로 했다.시설관리공단은 ‘자율 클린활동’을 통해 클린공단을 조성하고, 대전테크노파크는 대덕테크노밸리 및 갑천·동화천변 클린운동을 시행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