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 충북이 충청권을 대명제로 상생의 동행을 시작했다.명운이 달린 충청권 최대 현안임에도 중앙 정부에 밀려 가시방석 위에 놓인 세종시와 과학벨트 정상 관철이 ‘연대’의 선봉에 섰다.충청권 3개 시·도와 광역의회, 지역 정치권, 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하는 ‘행정도시 정상추진 충청권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12일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출범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공대위는 선언문에서 “그동안 충청권은 행정도시 정상 추진을 위해 협조하기보다는 정파적 논리 및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였다”면서 “이제부터는 민·관·정이 충분히 소통하고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의지를 다졌다.이에 앞서 염홍철 대전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 이시종 충북지사는 이날 오전 제21회 충청권 행정협의회를 통해 민선 5기 출범 후 첫 공식 회의를 갖고 세종시 정상 추진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을 강력히 촉구했다. 특히 과학벨트와 관련, 대통령의 충청권 공약인 만큼 충청권 입지를 명문화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 약속대로 이행하라고 정부를 압박했다.이어 벌어진 충청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에서는 위원회의 무용론을 도마 위에 올렸다.3개 시·도지사는 위원회를 계획만 무성하고 실천이 없는 속 빈 강정으로 규정하고, 실질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