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세종, 충남·북 4개 시도지사가 13일‘준비된 메가시티 충청시대 선포식’을 갖고 충청권이 하나 되는 의지를 다졌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충청권 메가시티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공동 노력을 약속하고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수도권 집중화로 각종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이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추이가 주목된다.

충청권 시도지사는 이날 충청권이 하나되면 560만 인구로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며 지방시대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공동 노력을 다짐하는 한편 정부의 지원을 요구했다. 이들이 요구한 내용을 보면 행정·교육·재정 등 획기적 권한 이양과 수도권 공공기관, 대기업, 대학의 우선 이전은 물론 도로·철도 국가계획 반영 등이다. 여기에 최근 논의되고 있는 의대 정원 확대와 관련 국립 지방의대 신설과 정원 확대 시 우선 할당도 추가됐다.

13일 세종시 지방자치회관에서 열린 ‘준비된 메가시티, 충청시대 선포식’에서 충청권 시도지사가 ‘충청 정부연합 규약’ 합의문에 서명한 뒤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태흠 충남지사, 김영환 충북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대전시 제공
13일 세종시 지방자치회관에서 열린 ‘준비된 메가시티, 충청시대 선포식’에서 충청권 시도지사가 ‘충청 정부연합 규약’ 합의문에 서명한 뒤 손을 맞잡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태흠 충남지사, 김영환 충북지사, 최민호 세종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대전시 제공

충청권 4개 시도가 이런 행사를 갖고 대내외적으로 단합을 과시한 것은 다른 지역의 메가시티 추진과 달리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충청권보다 한 발 먼저 광역화를 추진해온 부산·울산·경남 등 이른바 부울경 메가시티는 시도 간 이견으로 좌초됐고, 대구와 경북의 소위 TK 메가시티도 양측 의견 차로 진행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반면 충청권은 무려 8년 전인 지난 2015년 충청권상생협력기획단을 설치·운영하기 시작했고 충청권광역생활경제권추진협의를 구성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충청권특별지방자치단체, 즉 메가시티 구상을 본격화하는 등 순항하고 있다. 특히 지난 1월엔 충청권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을 출범시켜 초광역권 발전계획을 수립해 윤석열정부 지방시대종합계획에 반영하기도 했다.

충청권 메기시티 구축은 비단 충청권만이 아닌 국가 차원에서도 필요한 일이다. 이미 국내 인구의 절반 이상이 국도의 11.8%를 차지하고 있는 수도권에 집중해 있는 상황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6개 국가들 중 가장 심각하다.

반면 지방은 소멸 위기로 치닫고 있다. 특히 지방의 청년 인구 유출을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는데, 충청권은 다른 지역보다 더 심하다. 청년 인구의 유출은 지방 소멸을 더 가속화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은 나라를 위한 시대적 소명이라고 할 만하다.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충청권을 중심으로 지방시대를 선도한다면 국가균형발전의 모범도시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는 충청권 4개 시도가 단합해 추진하고 있는 메가시티 성공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