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조사 보고서
주50시간 이상 근로자 10% 수준
20년 전 대비 1/4, 1/7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지난 20년간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3일 내놓은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주당 5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253만 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24만 명으로 각각 전체 근로자의 12%, 10.3%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표 평균인 10.2%와 비교해 1.8%p, 0.1%p 높은 수준이다.

경총은 OECD 기준에 정확히 부합하는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 원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경총이 OECD 기준과 개념상 유사한 통계청 원자료를 분석해 두 가지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근로시간은 모든 일자리에서의 실근로시간을 산출한 수치로 OECD 기준보다 과대 계산될 가능성이 있고 평소 소정근로시간은 주업에서의 근로시간을 산출한 것이어서 OECD 기준보다 과소 계산될 수 있다.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67만 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58만 명으로 각각 전체 근로자의 3.2%, 2.7% 수준인데 모두 OECD 공표 평균(3.8%)보다 낮다.

2002년에는 우리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OECD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이후 우리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가파르게 감소해 이제는 OECD 평균과 비슷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2002년 우리나라 5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47.9%(실근로시간 기준), 42.6%(소정근로시간 기준)로 무려 절반에 가까운 근로자가 50시간 이상 일했다. 2002~2022년 OECD 평균이 2.1%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15배 이상 크게 감소(35.9%p, 32.3%p)했다. 2022년 주5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2002년의 4분의 1 수준이다.

주6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 역시 마찬가지다. 2002년 우리나라 6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22.1%(실근로시간 기준), 20%(소정근로시간)였는데 2002~2022년 OECD 평균이 2%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8배 이상 크게 감소(18.9%p, 17.3%p)했다. 2022년 6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2002년의 7분의 1 수준이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