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연합뉴스
사진= 연합뉴스

이미 예견됐던 일이지만 2024학년도 대입 정시 전형에서 지방대 미달 사태가 현실로 나타났다. 추가 합격자 등록을 마감하고도 169개 대학에서 1만 3000여 명의 학생을 채우지 못했는데 이중 88%가 지역대에 쏠려 있다는 것이다. 지방대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음이 다시 한 번 드러났다는 점에서 정부 당국의 대책을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종로학원이 25일 발표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4학년도 정시에서 169개 대학에서 1만 3148명을 선발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학들이 정시 미등록 인원에 따른 추가 합격자를 통보해 21일 등록을 마감했는데 이 때까지 채우지 못한 대학별 정원을 모은 것이다.

미선발 인원 중 88.1%인 1만 1595명은 지방대 103곳에서 나왔다. 서울에 있는 대학(31개교)에서 618명, 경기 인천 지역 대학(35곳)에서 935명을 뽑지 못한 것에 비하면 절대 다수가 지방대다. 대학들은 22일부터 29일까지 올해 대입 마지막 추가 모집을 진행 중인데 결과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지방대 위기 상황은 갈수록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정책 효과까지 겹쳐 지방대 사정은 더 악화할 것이라는 게 입시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게다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가 현실화하면 서울 상위권 대학 합격선이 내려갈 것으로 보여 서울 쏠림 현상을 부채질할 수도 있다.

‘벚꽃엔딩’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지방대 위기는 예견된 일이기는 하지만 현실로 드러나면서 지방대의 생존을 위한 몸부림은 처절하다. 외국 유학생 유치에 힘을 쏟는가 하면 지역 대학 간 통합 등으로 살아남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렇지만 대학들이 자구적으로 대책을 세워나가기에는 한계에 서 있다.

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이 나와야 한다. 현실적으로 지방대의 수를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합리적으로 줄이고 남은 지방대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 실효성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경쟁력과 자구 노력이 부실한 지방대에 대해서는 폐교와 통·폐합 등 좀 더 과감한 정책적 수단을 동원해 조기에 정리해 혼란을 줄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방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의 미래 전략산업을 발굴해 성장시키고 특화된 인력 양성을 서둘러야 한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지방대 출신 인재의 취업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등 지역 인재 인센티브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지방대는 단순히 학생을 가르치는 학교의 역할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허브로 문화의 중심이자 산업과 경제의 중심이다. 따라서 지방균형발전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