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은 체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못하는 현상, 즉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제2형 당뇨병에 해당한다. 만성질환의 대명사로 불릴 만큼 흔한 당뇨병엔 덜 알려진 그러나 더 위험한 제1형이라는 게 있다. 지난 1월 충남 태안군에서 1형 소아당뇨병을 앓고 있던 딸과 그 부모가 극단적인 선택으로 유명을 달리한 안타까운 사연이 수면 위에 오른 뒤 관심과 논의가 순환 중인 가운데 계제에 충남도의회가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적시했다.

충남도의회는 19일 방한일 의원이 대표 발의한 ‘제1형 당뇨병 환자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방 의원은 “소아당뇨 환자가 최근 4년 새 26%나 증가했고 경제적 어려움을 비관해 소아당뇨 가족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제1형 당뇨병으로 인한 국민 건강이 심각하게 침해받고 있다“고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해당 환자와 가족이 겪는 고통은 제1형 당뇨병의 기전으로 얼추 감 잡을 수 있다.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베타세포가 대부분 파괴돼 인슐린을 전혀 분비하지 못하는 탓에 평생을 외부에서 주입해야 살 수 있다고 전해진다. 인슐린이 부족하면 부족한 대로 많으면 많은 대로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으로,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고 따라서 심뇌혈관질환법에 따른 만성질환이 아니라 중증난치질환으로의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는 게 건의안의 요체다.

이와 함께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달부터 지원되는 당뇨 관리기기 지원을 전 연령으로 확대해 달라고도 했다. 그 근거로 전체 3만 378명 중 19세 미만은 10%인 3013명인 반면 19세 이상 성인은 90%인 2만 7365명에 이르는 2023년 6월 말 기준, 1형 당뇨병 유효 환자등록 수를 들었다. 직장인이라고 해도 완치가 어려운 질병의 장기간 검진 비용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는 지적은 일리 있다.

이들에 대한 치료행위를 요양비가 아닌 요양급여로 인정하는 등 관련 정책 개선과 더불어 지원방안을 수립해 달라는 게 정부와 국회에 전달될 도의회의 마지막 건의 사항이다. 1형 당뇨병에 맞춘 정부 지원이 없는 건 아니다. 상술한 소아·청소년 환자 당뇨 관리기기 부담 완화 조치를 비롯해 재택 의료 시범 사업 등을 펼치고 있다. 다만 도의회 말마따나 대상과 지원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추가적인 대책이 나와줘야 한다.

말이 나온 김에 당뇨병의 유형을 떠나 부쩍 늘고 있는 소아당뇨병으로 확대해 눈을 돌리면 해야 할 일이 더 많아진다. 특히 소아당뇨 환자를 돌봐줄 보건 인력 부족은 미결상태다. 제1형 당뇨병도, 소아당뇨병도 정부가 모든 요구를 한꺼번에 들어줄 순 없을 것이다. 상례가 어렵다면 특례로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 확대 방안을 모색해 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