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 수도권 기여도 51.6→70.1%
“비수도권 성장잠재력 확충 정책 필요”

사진=연합
사진=연합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내 경제력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오면서다.

한국은행은 25일 지역별 경제적 성과를 2001~2014년과 2015~2022년으로 나눠 비교 평가한 ‘생산·소득·소비 측면에서 본 지역경제 현황’ 보고서를 내놨다. 전국 산업생산 중 수도권 비중이 처음으로 50%를 넘긴 2015년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22년 수도권 산업생산 성장률은 2001~2014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의 성장률은 3%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에 대한 수도권 기여도는 2001~2014년 51.6%에서 2015~2022년 70.1%로 급등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비수도권은 자동차, 화학제품, 기계 산업 등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 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성장 격차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격차는 축소됐다. 광역시 이상의 대도시와 도 지역 간 소득 격차가 줄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았던 도 지역의 소득 증가율이 2015년 이후 대도시보다 덜 둔화했기 때문이다. 상당수의 도 지역에서는 생산 둔화 영향이 개인소득보다 기업 이익 둔화로 나타났고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대규모 이전 지출에 따른 재분배 수혜도 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컸다.

민간 소비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 청년 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 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도 지역 평균소비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

김동은 기자 yarijjang@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