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환
대전시생활체육회 사무처장

최근 들어 규칙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소득 수준 향상으로 인해 여가활동과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보는 스포츠에서 즐기는 참여형 스포츠로 변화되고 있다. 생활체육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사실상 한국의 생활체육은 주로 자유 직업인들과 노년층, 주부 등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직장인들은 긴 업무시간과 경제적인 이유로 스포츠를 즐기기 어렵고, 학생들은 학업 때문에 생활체육을 실천하기 힘들다.

실제로 서울시민 중에서 특정 종목이 아닌 줄넘기나 달리기를 포함하더라도 일주일에 30분 이상 운동하는 시민은 전체의 53%라는 조사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복지선진국인 스웨덴(90%), 호주, 캐나다는 물론 가까운 일본(7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생활체육 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독일, 미국, 호주 등에서 스포츠는 곧 생활이다. 이들 나라에서 스포츠는 보통 사람들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국민 모두가 스포츠를 친구처럼 즐기며 그 바탕 위에서 삶을 꾸려나가는 식이다. 이러한 생활체육의 사례는 스포츠 선진국으로 발돋움해야 하는 우리나라에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스포츠클럽의 천국이라 할 수 있는 독일은 스포츠클럽이 국민건강을 증진하는 주요 수단이 되고 있으며, 청소년 선도 기능과 세대 간 갈등 해소 기능도 맡고 있다. 국민 1인당 체육시설면적이 한국(0.33㎡)의 8.6배(2.83㎡)에 달하는 독일은 1961년부터 1975년까지 실시한 ‘골든 플랜’의 영향으로 10분 이내의 거리에서 다양하고 편리한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지역과 종목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한 달에 5000원에서 1만 5000원만 지불하면 원하는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충분한 시설과 정부의 국고지원, 조세혜택 등이 주어지면서 전체 인구의 70%가 10만여 개의 스포츠클럽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국민 모두가 평생 스포츠를 즐기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국인들에겐 스포츠는 일상이다. 지역사회 공공시설로 한 도시에 100만㎡ 이상의 공원면적을 확보하도록 법으로 강제화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어느 도시에서나 공원에서 생활체육을 즐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뉴욕은 연간 5000억 원, LA는 연간 2000억 원의 예산을 체육 공원시설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체육 활동이 올림픽 등의 대회 성적을 위한 목적이 아닌 시민들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필수적인 행위라는 인식이 만들어낸 결과다. 또 주교육위원회가 1994년 ‘유치원부터 고교까지 매일 체육수업을 받아야 한다’는 기본방침을 세움에 따라 대부분의 공립학교 학생들은 매일 1시간씩 운동하며 미식축구, 농구, 축구, 레슬링, 배구 등 요일별로 다른 종목을 즐긴다.

이러한 선진국들의 생활체육 시스템의 공통점은 모든 국민들이 일상 속에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만들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고 있다는 것이다. 또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체육행정이 시스템화 됐다는 것이다. 이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의 생활체육 수준은 질적인 면에선 아직도 많이 부족하기만 하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할 생활체육 선진화를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이 필요할까?
누구나 집을 나서면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생활체육 선진국을 만들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는 지역주민이 생활체육 시설과 공간에 접근이 용이한 공공체육시설을 확충하는 것이다. 또 이를 상시 개방해 주민의 생활체육 장으로 활용해야 하며, 청소년들에게 부족한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해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체육활동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교육제도의 정비가 시급하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생활체육을 국민의 기본권의 하나로 인식해 국가가 집중적으로 투자하려는 노력이 뒷받침돼야 하며 이를 위한 법률적 제도 개선 또한 필요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