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조각 인선이 늦어지면서 새 정부의 파행 출범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여야가 합의한 새 정부 출범 일정을 보면 오는 14일까지 정부조직 개편안을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하고 26일 총리 인준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17개 부처 장관에 대한 청문회에는 최소 20일이 소요된다.

그렇다면 새 총리 후보자 지명, 정부조직법 개정안 심의 및 통과, 장관 인선, 총리 인사청문회 등을 처리하기엔 일정이 빠듯하다. 총리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일부 후보자가 낙마하는 사태가 벌어지면 정상적인 정부 출범은 어렵다. 2008년에는 남주홍 통일부, 박은경 환경부, 이춘호 여성부 장관 후보자가 줄사퇴하는 바람에 새 정부의 첫 국무회의에 성원을 채우기 위해 전 정권의 일부 국무위원이 참석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지금 상태라면 내각 구성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런 불안감이 새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 저하요인이 된다면 큰 일이다. 새 정부의 인선 차질은 김용준 전 국무총리 지명자의 낙마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김 전 지명자가 두 아들의 병역 논란 등 의혹에 직면하면서 내정 5일 만에 하차함에 따라 박 당선인은 총리 인선부터 고민해야하는 상황이다.

박 당선인의 인사검증 스타일이 과연 바람직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의 존안자료에는 1만 명의 주요 공직 후보군에 대한 사항들이 망라돼 있다. 이번에 청와대의 검증 협조를 받아 이 자료만 제대로 활용했더라도 ‘김용준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지 모른다. 소수 측근에 의존하는 ‘폐쇄회로 검증’을 하다 보니 불통이라는 소리를 듣고 인선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았는지 짚어봐야 한다.

고도로 복잡다단하고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국가경영은 교수나 전문가 몇 사람이 둘러앉아 논의할 사안이 아니다. 비밀주의나 배타주의로는 다양한 지식과 의견, 여론 등을 수렴하기 힘들다. 소통과 열린 문화가 강조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수위의 구성 인력이 아무리 출중하더라도 이상적인 국가경영의 방법론을 모색하기에는 자칫 한계에 부딪칠 수 있다. 집단 지혜 내지 집단 지성을 추구하고 발굴하는 노력이 중요한 시점이다. 새누리당의 지적 역량과 다양한 국정경험도 최대한 활용해봄직 하다.

박 당선인의 인사 검증 스타일에 대해 새누리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안을 강조해 발표한 후보자가 국민 공감을 못 얻거나 청문회 검증에 걸릴 인사라면 곤란하다. 인선 방식을 바꿔 도덕성과 능력을 갖춘 제대로 된 인물을 골라내는 일에 속도를 내기 바란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