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표 사극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2005년 천만 신화를 기록한 ‘왕의 남자’ 이준익 감독이 2010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으로 돌아왔다. 이 감독의 사극은 권력자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들의 정치 논리에 휘둘려 희생당할 수밖에 없던 약자를 전면에 내세워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시한다. 역사의 재현에 머무르지 않고, 과거를 통해 현재를 사는 우리들에게 강렬한 메시지를 전한다. ‘이준익표 사극’이라는 하나의 조류를 만들어낸 그가 ‘왕의 남자’ 이후 5년 여 만에 선보이는 세 번째 사극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역시 그 연장선상에 놓여있는 작품이다.임진왜란의 기운이 조선의 숨통을 조여 오고 민초의 삶은 피폐해져만 가던 선조 25년. 황정학(황정민), 이몽학(차승원)은 평등 세상을 꿈꾸며 ‘대동계’를 만들어 관군을 대신해 왜구와 싸운다. 하지만 조정은 이들을 역모로 몰아 대동계를 해체시킨다. 이몽학은 썩어빠진 세상을 뒤엎고 스스로 왕이 되려는 야망을 키운다. 그는 연인 백지(한지혜)마저 버린 채, 세도가 한신균 일가의 몰살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반란의 칼을 뽑아 든다. 한때 동지였던 이몽학이 반란의 길을 가려는 것을 알게 된 맹인 검객 황정학은 그의 결심을 되돌리려 한다. 이몽학에 의해 아버지를 잃은 한신균의 서자 견자(백성현)와 함께 그를 추격한다. 15만 왜구는 순식간에 한양까지 쳐들어온다. 왕조차 나라를 버리고 궁을 떠나려는 절체절명의 순간이다. 이몽학의 칼끝은 궁을 향하고, 황정학 일행 역시 이몽학을 쫓아 궁으로 향한다. 텅 빈 궁에서 마주친 이들은 운명을 건 마지막 대결을 시작한다. 주인공들은 어둡고 억압적인 세상에 치열하게 부딪히며 자신을 둘러싼 속박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영화는 이들이 빚어내는 뜨거운 드라마를 통해 시대의 모순과 그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희망, 사랑, 꿈, 신념을 이야기했다. 무능한 정권은 나라의 운명에 등 돌린 채 동·서인으로 갈라져 당파 싸움만 일삼았다. 그 속에서 좌절된 꿈을 껴안고 살아야만 했던 인물들의 모습 속에 2010년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우리의 욕망과 갈증을 이 영화에 투영하였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이 감독의 새로운 사극을 기다려온 한국 영화계에 새 바람을 몰고 올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