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실업이 큰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가장 공부를 많이 하고 가장 화려한 스펙을 구축한 청년세대들이 일을 하고 싶어도 할 곳이 없다니 이 얼마나 슬픈 현실인가.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처지는 당해본 사람만 그 고통을 안다. 당사자나 부모의 그 절박한 심정을 생각해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래서 청년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것보다 더 좋은 사회복지는 없다고 단호히 말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청년 취·창업 프로젝트와 기업수요 맞춤형 교육훈련, 취업상담 알선, 청년 맞춤형 창업지원 등이 실효를 보이고 있다니 반가운 일이다. 일시에 모든 실업 문제를 해결한 것은 못 되지만 지자체가 앞장서 실업 해결을 위한 시책을 마련해 실시한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니 희망적이다.

대전시는 지난해 6대 분야 64개의 장·단기 일자리정책을 추진했다. 그 결과 6088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해 전국 지역일자리 목표공시제 평가에서 2년 연속 우수상을 수상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고용동향에서 대전의 청년실업률은 8.0%로 전국 7개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게 조사됐다. 전국 대도시 가운데 산업 기반이 가장 취약한 대전시가 이 같은 성과를 올렸다니 기쁜 소식이다. 전국평균 실업률이 9.8%라니 대전은 이 보다 1.8%포인트가 낮은 것이다.

물론 아직도 실업률은 사회 전반의 큰 문제로 남아있다. 일자리를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질의 문제가 대두돼 평생 몸담을 수 있는 직장인가의 문제도 따져봐야 하겠고, 적정한 수입이 보장되는지도 살펴봐야 하겠다. 그저 일순간의 수치를 높이기 위해 질 낮은 고용시장으로 청년들을 몰아넣는데 집중했다면 진정한 실효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제는 질을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나가야 한다. 질이 보장되지 않는 취업은 금세 다시 실업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청년, 대학, 기업과 연계한 구인구직자의 고용정보 서비스망 구축과 청년인력관리센터 운영, 대덕특구 청년인턴십, 청년혁신 스카우트 내손을 JOB아, 청년 릴레이토크콘서트, 청년창업 생태계 구축 등 청년시책을 적극적 추진한 결과, 의미 있는 성과를 올렸다.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성과를 올렸으니 이는 대전시가 성공적으로 시책을 추진한 것이 맞다. 그러나 이제는 고용과 창업의 질을 높여주는 방향도 병행해야 한다.

대전시가 관내 중견기업과 공공기관의 채용계획을 조사해보니 48개 기업과 공공기관이 1500명 가까운 신규직원 채용을 계획 중이라고 한다. 고용을 창출해내는 것도 기업과 기관이 맡고 있는 사회적 책무 중 중요한 영역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