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 서문시장에 이어 여수 수산시장에서 대형화재가 발생하는 등 전통시장에서의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연말연시와 겨울철을 맞아 난방용품 사용이 급증하면서 점포가 밀집한 전통시장의 화재가 빈발하고 있는 것이다. 대전과 충남 등 우리지역의 전통시장은 과연 화재에 안전한지 걱정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11월 30일 대구 서문시장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한지 두 달도 되지 않아 이번엔 전남 여수 수산시장에서 불이 났다. 15일 오전 2시 28분에 난 불은 2시간 만에 진화됐지만 전체 125개 점포 가운데 58개 점포가 전소하는 등 117개 점포가 타거나 그을렸다. 소방당국은 5억 2000만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나 설을 앞둔 화재로 인해 상인들의 실질적인 피해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전통시장은 과거보다 시설이나 운영 면에서 한층 나아진 것이 사실이다. 침체된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그동안 정부와 지자체들이 시설 및 제도의 현대화를 꾸준히 추진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시장에서의 화재가 빈발하고 있는 것은 여전히 안전시설이나 대책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은 점포가 밀집돼 있는데다 전기시설 등이 거미줄처럼 빼곡하게 설치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많은 상인들이 한 겨울 추위를 전기장판 형식의 의자에 몸을 녹이고 있고 문어발식 콘센트에 전기포트 등 각종 생활용품을 연결해 사용하기 일쑤다. 또한 소방차 진입로에 좌판이나 차광막이 설치돼있어 화재발생 시 초기 진압도 어렵다.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이 수시로 안전점검을 벌이고 있기는 하다. 지난 대구 서문시장 화재 이후 각 지자체들은 소방당국과 합동으로 관내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전기분야를 중심으로 안전점검을 벌였다. 그렇지만 이런 안전점검이 형식적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여수 수산시장도 안전점검을 받았고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지만 이번에 화마를 입어야 했다.

대전과 충남지역의 자치단체들도 지난 대구 서문시장에 이어 여수 수산시장 화재를 계기로 관내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안전점검을 벌이고 있다. 각 시장의 점포에 대해 소화기, 소화전, 경보설치와 비상연락 구축 등을 파악했다. 전기와 가스시설에 대한 안전여부도 확인해 개선할 점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전통시장은 구조 상 일단 불이 나면 대형으로 번지기 십상이다. 당국은 보다 더 철저한 점검을 통한 예방체계를 갖추고 상인들은 스스로 불조심을 생활화해야 한다. 대구와 여수의 화마를 강 건너 불로 생각하지 말고 화재예방의 경각심을 높이고 대책을 확실히 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