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비정규직근로자들이 저임금, 감정노동, 직장 내 부당대우 등의 불평등한 노동조건 속에서 쓰디쓴 눈물을 삼키고 있다. 이들은 어렵게 취업해선 임신·출산·육아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 돼 재취업하는 것도 힘든 현실에 처해있다. 재취업에 성공해도 이전보다 더 열악하거나 비슷한 근무환경에서 일하기 십상이다. 좀처럼 개선책을 찾기 어려운 악순환의 연속은 지역사회도 마찬가지다.

통계청의 지난해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 비정규직근로자는 644만 4000명이며 이중 남성비정규직근로자는 46.1%인 290만 6000명, 여성비정규직근로자는 53.9%인 353만 8000명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동월 남성비정규직근로자(288만 2000명)가 0.8% 증가한 데 비해 여성비정규직근로자(339만 명)는 4.4%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이처럼 여성비정규직근로자의 규모는 계속 늘어나는 반면 노동조건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대전의 한 대학교 비정규직근로자인 A모 씨는 “사회 초년부터 매 월 120만 원을 받고 일을 했지만 20년이 지난 현재도 고작 40만 원이 늘어난 160만 원의 임금을 받고 있다”고 답답한 속내를 토로했다. 이들이 처한 현실은 각종 조사에서도 드러난다. 대전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이하 대전센터)는 지난해 11월 ‘대전시 여성비정규직 근로환경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조사에선 여성비정규직 임금이 성차별과 비정규직 차별이 중첩돼 남성정규직과의 양극화가 해가 거듭할수록 벌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콜센터 상담원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고용된 여성들은 감정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이며 요양보호사의 경우 타 직종에 비해 성폭력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고 이는 치매에 걸린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대상자 집에 방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성폭력 등이 노출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라고 보고됐다.

이들은 ‘가정돌봄’으로 인한 피할 수 없는 경력단절기간을 갖게 돼 사회로의 진입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그들은 인터넷상에서 ‘경단녀’라 불리는데 어렵게 재취업에 성공해도 이전 노동환경보다 못하거나 크게 다르지 않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숙박·음식점업’ 등으로 진출한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 있다. 일·가정의 양립이 가능한 단시간 및 시간제 일자리로 취업을 희망하는 경우도 있으나 아직까지 근로시간이 적은 근무형태는 비정규직이나 단순 노동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대전센터 관계자는 “여성비정규직근로자들의 임금을 적정한 생활임금 수준으로 인상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노동정책 과제로 삼아 임금의 상향평준화를 유도해야 한다”며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해소 가이드라인 및 프로그램을 개발, 조례 제·개정 등 대책의 근거를 마련해야”고 강조했다.

정재인 수습기자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